전주-완주 통합 주도 임정엽 완주군수
“일제에 의해 78년 동안 떨어져 있던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에 군민들이 적극 참여해 현명한 판단을 해 주실 것으로 믿습니다.”임정엽 완주군수는 “지역 최대 현안인 전주시와의 통합을 묻는 찬반투표를 위해 이번 주 중에 선거관리위원회와 협의, 주민투표 일시와 장소 등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임 군수는 역대 완주군수들이 정치적 부담과 기득권에 대한 미련 때문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던 전주-완주 통합에 적극 나선 최초의 단체장이다. 그는 지난해 4월 30일 전북 발전을 담보하고 후손들에게 자랑스러운 지역을 물려주자는 선공후사(先公後私)를 기치로 내걸고 전주-완주통합을 전주시와 공동건의해 지역 정치권에 새바람을 일으켰다.
전주-완주통합은 상생발전과 지역발전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기필코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의 질타에도 불구하고 완주군의 반대로 여러 차례 무산된 지역의 숙원사업이다. 이 때문에 양 지역은 지난해 통합 공동건의 이후 1년 1개월여에 걸쳐 각종 준비 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통합 여부 결정권을 쥐고 있는 완주군민들에게 믿음을 주고 통합 이후 발생하는 부정적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임 군수는 전주권 그린벨트 해제지역 규제완화 등 8개 사업은 용역을 추진 중이고 민간 주도로 건의된 45개 분야 85개 상생이행 방안도 협약 체결과 이행조례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합에 대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전주시는 송하진 시장이 3일 “통합을 위해 신명을 다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통합시장에 나서지 않겠다”며 정치적 승부수를 던져 찬성 분위기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임 군수는 통합의 당위성과 통합시의 비전에 대해 “단체장은 투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발언을 할 수 없도록 관련법에 규정돼 있다”며 손사래를 쳤다. 투표일은 농번기를 피해 오는 26일이 가장 유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1935년 일제에 의해 강제 분리된 전주와 완주가 통합되면 정부로부터 2500억원의 재정 인센티브를 받고 전북 발전을 이끌어 갈 인구 100만명의 중핵도시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전주의 첨단산업과 완주의 테크노밸리가 결합하면 기업 유치에 가속도가 붙고 지역균형발전 촉진, 완주군의 농업과 전주시 소비자 간 지역순환경제권이 형성될 것으로 분석된다.
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06-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