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으로부터 전방위 압박받는 듯한 모양새총인시설, 갬코에 이어 또 위기…”대국민 사과” 여론도
강운태 광주시장이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정부 보증서 위조로 위기를 맞았다.한국 최초의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유치라를 쾌거를 올려놓고도 ‘공문서 위조’라는 암초에 부딪히면서 대회유치가 빛이 바랬다.
|
강운태 광주시장 연합뉴스 |
정부(총리실·문체부), 새누리당 등 여권으로부터 전방위 압박을 받는 듯한 모양새여서 그 배경과 함께 정부-광주시 간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문체부는 공문서 위조를 빌미로 국제수영연맹(FINA)과 약속한 정부 재정 지원 방침을 철회한 데 이어 국무총리실도 “정홍원 총리가 지난 5월 1일 FINA 실사단과 면담에서 지원을 약속했다”는 강운태 광주시장의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며 정면 반박하고 있다.
여기에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도 나서 공문서 위조의 잘못을 지적하고 공직기강 확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광주시를 압박했다.
특히 정홍원 국무총리는 23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유치 과정에서 불거진 공문서 위조 사건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총리실, 문체부, 새누리당 모두 강운태 시장을 ‘정조준’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총리 사인을 위조한 것도 초유의 일이지만, 여권이 광역자치단장에게 집중포화을 퍼붓는 것도 매우 이례적이다.
정부는 총리사인 위조에 대해 ‘국기문란’ ‘역모’ ‘범법행위’라며 원칙대로 대응한다는 입장이지만, 강 시장 측에서는 ‘정치적 배경’이 있지 않느냐는 의혹을 갖고 있다.
지난 4월 공문서 위조 사실을 적발하고도 3개월 후 언론에 확인해주고 수사의뢰가 이뤄진 데 대해 정치적 판단이 작용했지 않느냐는 것이다.
민주당 모 부대변인은 23일 “5월 정국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국가기념곡 제정 등 정부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 강 시장이 괘씸죄에 걸린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강 시장이 정당 소속을 떠나 광역자치단체장으로서 대(對) 정부 관계를 매끄럽게 하지 못한 원인도 있지 않겠느냐는 추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 강 시장이 지난 1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언론발(發) 정부 방침(강 시장 고발)을 접한 뒤 “직원의 실수다. 법적으로 문제없다.(정부가) 개탄스럽다” 등의 발언이 정부를 더욱 자극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행정의 달인’ ‘정치 9단’답지 못했다는 일부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강 시장이 공문서 위조 사건에 따른 지역 이미지를 훼손하고 신뢰도를 추락시킨데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고개를 들고 있다.
강 시장은 취임 후 총인시설 비리와 갬코 국제사기 사건에 이어 또 한 차례 위기를 맞았다.
굵직한 시정 현안을 해결하는 등 많은 성과를 보인 강 시장이 내년 지방선거를 1년도 채 남기지 않고 터진 악재를 어떻게 돌파해 낼지, 어떤 리더십을 발휘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