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개발 본궤도… 첨단산업으로 강서 재도약
“제가 미래 강서를 이끌 마곡지구를 성공적으로 만들겠습니다.”노현송 강서구청장은 낮고 작지만, 확신에 찬 어조로 마곡지구 완성을 자신의 손으로 이루고 싶다고 말문을 열었다.
노 구청장은 “강서구의 미래가 걸린 마곡지구 개발이 본 궤도에 올랐다”면서 “아무도 모르겠지만 사실 LG그룹의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시와 LG 간의 중재를 도맡았다”고 강조했다.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이라고 불리는 마곡지구 개발의 열쇠는 선도기업 유치에 달렸었다. 또 낙후된 강서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늘리려면 대기업의 투자 유치가 필수적이라고 노 구청장은 생각했다. 따라서 마곡지구에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던 LG그룹을 잡는 것도 서울시가 아닌 노 구청장의 몫이었다.
서울시는 LG가 요청한 마곡지구의 땅 23만㎡ 중 50%만 분양하겠다고 했다. 이에 LG는 그렇게 적은 면적에는 투자하지 않겠다며 인천 송도 쪽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었다. 노 구청장은 안타까웠다. 강서지역 발전을 위해서 마곡지구에 LG 같은 대기업의 투자가 꼭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시와 담판을 벌였다. 기존 50%만 제공하겠다던 시를 설득해 LG 신청 면적의 58%인 13만여㎡를 분양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또 추가 부지신청이 있으면 적극 수용하겠다는 협의안을 도출했다. 이에 LG가 마곡지구 13만여㎡에 2조 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것이다.
최근 LG가 추가로 4만㎡를 더 분양받은 것도 노 구청장과 서울시의 약속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노 구청장의 중재로 LG가 마곡지구 총 17만㎡에 3조 2000억원을 투자하게 됐다. 이는 그동안 서울의 변두리 지역으로 알려졌던 강서구가 최첨단 산업단지로의 변신을 알리는 신호탄인 셈이다.
노 구청장은 “마곡지구는 첨단산업단지와 국제업무단지, 주거단지 등으로 나뉘어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마곡지구에 기업들이 입주하는 2020년이면 서울의 제2도약을 가능케 하는 상권 중심지,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 구청장은 민선 2기(1998~2002년) 강서구청장과 제17대 국회의원(2004~2008년)을 거친 서울지역 유일한 구청장이다. 그래서인지 정치와 행정의 조화를 이루는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노 구청장은 “강서주민과 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은 시작보다 마무리가 중요하다”면서 “시작보다 마무리를 잘하는 구청장으로 불릴 수 있도록 전력투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