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위서 동료의원들과 보조맞추며 ‘팀워크’ 도모
당내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논란을 가까스로 마무리지은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가 ‘기초연금 도입’이라는 두 번째 산을 어떻게 넘을지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기초연금 소관 상임위인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이기도 한 안 대표는 이 때문에 새정치연합 창당 전부터 복지위 소속 야당 의원들과 만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왔다.
최근까지만해도 정치권에서는 야당 복지위 소속 의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화적인 안 대표가 중재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해왔다.
하지만 최근 안 대표는 야당 의원들과 보조를 맞추며 정부·여당과 각을 세우는데 치중하는 모습이다.
안 대표는 지난 11일 복지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기초연금을) 소득과 연계하면 시행초기 재정부담이 정부안보다 적다”며 야당이 여야정협의체에서 제안했던 기초연금과 소득 수준을 연계하는 안을 주장했다.
또 “정부·여당이 기존 입장만 반복하고 한 걸음도 진전된 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며 “여러 대안이 있는데도 원안을 제외한 나머지 안을 모두 거부한 것은 무책임하다”고 목청높여 비판하기도 했다.
안 대표의 이 같은 태도는 당내 공감대를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여당과 절충에 나설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안 대표는 최근 기초선거 무공천 문제를 놓고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라는 승부수를 던졌다가 자신의 소신을 관철하는데 실패, 정치적으로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은 상태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기초연금 문제를 푸는 데 있어 자신의 구상을 무작정 밀어붙이기보다는 신중한 행보 속에 해결책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복지위 소속 새정치연합의 한 의원은 1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안 대표가 방향을 얘기할 수 있겠지만 구체적인 협상은 원내 지도부가 하지 않겠는가”라며 “이 협상에도 소득이 없다면 그 때서야 안 대표가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