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충북도당 의장 후보 경선 당선인들 야당에까지 도움 요청
지방의원 당선인들이 새 의회 개원 전부터 자리싸움을 벌여 눈총을 받고 있다.
|
새누리당에서 의장 자리싸움이 벌어지는 것은 도의회 전체 의석 31석 가운데 21석을 차지, 당선 가능성이 매우 커서다. 교황 선출 방식으로 진행되는 의장선거에서 똘똘 뭉쳐 아군 후보를 밀면 새누리당이 의장을 차지할 수 있다. 상황이 이렇자 새누리당 일부 당선인들은 야당에도 도움을 청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한 도의원 당선인은 “선거가 끝나자마자 새누리당 당선인들이 전화를 걸어 지지를 부탁했다”면서 “자리 욕심에 야당에까지 손을 내미는 모습을 보니 씁쓸하다”고 말했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합쳐진 뒤 처음 출범하는 통합 청주시의원 당선인들은 출신 지역으로 나뉘어 의장 자리를 놓고 싸우고 있다. 청원 지역 당선인들은 통합 전 상생협약에 따라 청원 출신 의원이 의장이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러나 청주 지역 당선인들은 청원 출신이 시장에 당선된 상황에서 의장까지 청원 출신이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반기를 들고 있다.
울산시의회도 전반기 원 구성을 앞두고 시끄럽다. 새누리당 재선 의원들이 재선 일색의 의장단 구성을 추진하자 이를 뒤늦게 알게 된 초선 의원들이 비민주적 처사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초선 12명 중 7명은 기초의원 재선 이상이고, 이 중 3명은 기초의회 의장 출신이기 때문에 ‘광역 초선’으로 몰아가는 것은 수긍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초선 의원은 “시민이 뽑은 의원을 초선이라고 배제하는 것은 공정치 못하며 원 구성 논의에서 배제한 것은 더 큰 문제”라고 반발했다. 부산시의회에서는 재선 이상 의원 7명이 모여 의장단 구성을 논의하자 초선 의원과 일부 재선 의원들이 밀실에서 나눠 먹기를 한다며 비난하고 있다. 4선인 백종헌·이해동 의원은 먼저 의장 자리를 차지하겠다며 충돌하고 있다.
이렇게 당선인들이 감투싸움을 벌이는 것은 혜택이 적지 않아서다. 충북도의회의 경우 의장이 되면 연간 5040만원의 업무추진비, 관용차, 독립된 사무공간, 수행비서 등이 생긴다. 부의장 2명은 연간 2520만원의 업무추진비를 쓸 수 있다. 의장 경력은 특히 정치적으로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된다. 6·4 지방선거 홍성열 증평군수 당선인과 박세복 영동군수 당선인이 모두 군의회 의장 출신이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2014-06-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