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요직 진출 지름길로 각광
“예전엔 힘 있는 청장이 와서 상급 부처와 업무 협조가 잘됐는데 근자에는 그런 인센티브(?)도 없네요. 아예 올라가질 못하니까 외청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거죠.”
|
과거 이명박 정부 출범 전까지 10년간 7명의 관세청장 중 4명이 장관으로 발탁되면서 ‘관세청장=승진·영전 자리’로 인정됐다. 김호식 전 해양수산부 장관,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 이용섭 전 건설교통부 장관,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장이 잇따라 관세청의 이름을 빛냈다.
그러나 최근에는 허용석, 윤영선, 주영섭, 백운찬 전 청장들에 이어 현 김낙회 청장까지 ‘5연속’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출신이 배치됐다. 세제실장이라면 그래도 잘나가는 자리라 ‘세제실장→관세청장→국세청장 또는 장관’으로 이어지는 ‘로열 코스’를 꿈꾸지만 국세청장 자리에 내부 승진이 잇따르면서 행로를 잃은 듯하다. 이로 인해 관세청장 자리가 ‘세제실장의 무덤’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외청장 전성시대’는 참여정부 때였다. 조달청장 출신인 권오규 전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해 관세청장을 거친 이용섭 전 건교부 장관, 중소기업청장을 거친 김성진 전 해수부 장관이 있었다. 특히 권·이 전 장관은 2002년 각각 외청장을 거쳐 이듬해 청와대 비서관과 국세청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2006년에는 재경부와 행정자치부 수장에 오르면서 ‘외청장 황금기’를 구가했다고 평가된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7-3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