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에 따르면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 개방된 데이터 건수는 법 시행 이전보다 6배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10월까지 데이터포털에 개방된 데이터는 1963건에 불과했지만 지난 9월 말에는 1만 1255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데이터를 내려받기한 횟수도 1만 1825건에서 7만 9561건으로 증가했고, 개방된 데이터를 이용해 민간업체 등에서 서비스를 새로 개발한 사례도 42건에서 333건으로 늘어났다.
다운로드 횟수 등을 기준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한국환경공단의 대기오염정보, 국토교통부의 대중교통정보, 기상청의 생활기상정보,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기관·약국 및 응급의료정보, 조달청의 공공조달정보, 각 지자체의 전국 공영주차장 및 공중화장실 현황 등으로 나타났다.
주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날씨, 교통, 의료와 관련된 데이터로 이를 활용한 앱 개발도 활성화됐다는 평가다. 100만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한 ‘모두의 주차장’, 택배 위치를 알려주는 ‘스마트 택배’(다운로드 400만건), 운전자들의 필수 앱인 ‘김기사’(다운로드 1000만건)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이 밖에도 실시간이 아닌 파일 형태로 제공되는 데이터 중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주요 직위명부, 국가인재 데이터베이스(안전행정부), 유동인구 데이터베이스, 전국 주요 상권현황(중소기업청), 교통사고통계(도로교통공단) 등이 지난 1년간 가장 많이 활용됐다. 정부는 앞으로 국민편의, 기업 활용도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방하기로 하고, 2017년까지 100개 공공데이터의 개방 표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4-11-03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