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반대 ‘사업 철회 촉구’ 결의안 발의
“아현동, 공덕동 등 서울 마포구 봉제 업체 1000여곳이 서울역 고가도로를 이용해 남대문시장, 동대문 패션타운 등에 물건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대체 도로 건설 없는 공원화는 안 될 일입니다.”허 의원은 “봉제 업체 대부분이 아침에 주문받아 당일 저녁에 완성된 옷을 납품하고, 이 제품들은 세계로 수출된다”면서 “서울역 고가도로가 폐쇄되면 10분이면 되는 원단 및 완성 옷 배달 시간이 한 시간 이상 늘어나기 때문에 판매, 수출 등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근 용산구(서계·청파·효창동)와 중구(만리·중림동)까지 더해 소규모 봉제 업체 1500여곳과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생존권이 달렸다는 것이다.
허 의원은 무조건 반대를 주장하지 않고 ‘상생’ 대안도 제시했다. 그는 “서울역 고가도로를 대체할 신설 4차선 도로를 계획대로 건설해 2개 차로는 차량이, 2개 차로는 공원 및 보행도로를 조성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뉴욕 하이라인 파크는 20년간 방치돼 철거 위기에 놓인 것을 시민단체가 나서서 개발한 것이지만 서울역 고가도로는 하루 5만대 이상 차량이 통행하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허 의원은 앞서 정희창 중구의원, 황금선·김정재 용산구의원과 대책회의를 갖고 연대해 대체 도로 건설 등 대안 마련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들과 함께 받은 주민 서명을 취합한 뒤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면담을 신청할 계획이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12-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