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보 구조 문제없나
한국수자원공사는 일부 보에서 발견된 누수는 시공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한꺼번에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블록 단위로 제작해 연결하는 이음부에서 물이 샐 수 있다는 것이다.
댐 등 대형구조물에서는 통상 허용치 이내의 누수가 발생한다. 실제 대청댐 같은 대규모 콘크리트 댐조차 본체에서 허용 범위의 물이 샌다. 콘크리트 댐 본체 안에 흘러나오는 물을 모아 빼는 수로를 따로 만들어 놓을 정도다. 따라서 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생긴 이음부 부분의 누수가 허용치 범위라면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위원회가 지적한 물받이공 누수는 반드시 보강 대책을 세워야 한다. 특히 보 상류의 물이 하천 바닥(기초지반)을 통해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를 방치하면 파이프처럼 물길이 형성되는 이른바 ‘파이핑(piping) 현상’이 일어나 보 본체가 기울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려 기초가 흔들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자원공사는 이에 대해서도 설계 과정에서 지반 조사 등 파이핑에 대한 안전율을 충분히 확보(FS 2.0이상)했고 시공 단계에서 시트파일을 암반까지 설치해 파이핑 안전율을 높였다고 밝혔다. 또 운영 단계에서 침하계 등 각종 검측기를 통해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고 보수·보강 작업도 벌이고 있어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2-2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