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지난해 급여비 분석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7일 발표한 ‘2014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현황 분석’ 자료를 보면 건강보험에 가입한 1616만 가구 가운데 낸 보험료보다 받은 급여비가 적은 가구는 871만 가구로 53.9%를 차지했다. 병원을 이용하면 진료비의 일부분을 건강보험이 부담하는데 이를 건강보험 급여라고 한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52.3%가, 지역가입자는 56.6%가 자신이 낸 보험료 이내로 급여를 받아갔다. 그만큼 의료기관 이용률이 적었다는 의미다.
지역보험료 하위 20%계층은 무려 15.2%가 지난해 병원을 가지 않았다. 건강 문제와는 별도로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 때문에 병원 가기를 꺼린 것으로 보인다.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은 의료기관을 더 많이 이용했다. 직장가입자 중 보험료 상위 20% 계층은 1인당 연간 진료비로 119만원을 지출한 반면 보험료 하위 20% 계층은 95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1.3배 차이가 난다.
소득 수준별로 이용하는 병원도 달라 지역가입자 중 보험료 상위 20% 계층은 전체 진료비 중 18.7%를 상급종합병원 진료비로 지출했고 지역 하위 20% 계층은 상급 종합병원보다는 일반 병원(25.1%)을 더 많이 이용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7-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