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관련 ‘다목적 복합 공동구’ 설치도 제안
갑자기 도로나 땅이 꺼지는 싱크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가운데 서울시 지하공간 통합지도가 만들어져야한다는 의견이 서울시의회에서 제기됐다.지난 8월 16일 독립문역 2번 출구 근처에서 지름 3m의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이튿날인 17일 여의도에서도 지름 1m의 싱크홀이 발견되는 등 싱크홀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재난으로 남아있다.
|
서울 서대문구 독립문역 2번 출구 근처에서 발생한 싱크홀. 출처 국민일보. 사진 서울시의회 제공 |
지난해 국토부에서는 ‘지하공간 통합안전관리체계’ 구축을 계획하며 그 일환으로 ‘지하공간 통합지도’의 제작·활용을 발표한 바 있다. 김동승 서울시의원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하공간 통합지도 제작을 주장한 것이다.
김동승 의원은 “지하매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다목적 복합 공동구 설치도 필요하다”며, 중앙정부와 협의를 통한 설치를 요구하기도 했다. 도시기반시설을 매설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선 기존 공동구와 다른 선진형 복합 공동구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싱크홀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재난인 만큼, 지속적인 관리와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으며, “문제진단과 대응이 늦어질수록,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간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