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부처 엇갈린 반응
19일 부분 개각이 단행된 부처 공직자들은 환영과 당혹감 등 부처마다 엇갈린 반응들을 보였다.기획재정부 직원들은 희비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송언석 기재부 예산실장이 2차관으로 승진하면서 예산실을 중심으로 적체됐던 고위직 인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이지만 방문규 기재부 2차관이 복지부 차관으로 자리를 옮기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방 차관이 복지부 차관으로 자리를 옮긴 것은 실망스럽다”면서 “그동안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공공기관 개혁 등을 주도했는데 본인은 물론 조직으로서도 아쉽게 됐다”고 말했다.
|
▲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19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장관 등 7개 부처의 장차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국가안보실 1차장 등에 대한 개각 인사를 발표하고 있다.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
한편 차관이 교체되는 교육부는 순차 개각에 따른 단순 교체설과 한국사 국정화 수습 미흡에 대한 경질설 두 가지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단순 교체설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사실상 내년 총선에 나서는 게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라 내각 교체 시점이 맞물려 차관이 먼저 교체된 것 같다는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 황 부총리는 내년 총선에 나가려면 내년 1월 14일까지 장관직을 그만둬야 한다. 한국사 국정화 결정 이후 뒤숭숭한 시점이어서 사실상의 차관 경질을 통해 국정화의 추진력을 얻고자 한 것 아니냐는 반응도 있다. 김 차관은 2009년 대학교수 시절 연구 보고서에 ‘국정 교과서는 일부 후진국에서나 하는 것’이라고 해 논란이 됐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서울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0-2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