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투포트’ 채택 배경 및 운영방안
25년간 표류했던 제주도 공항 인프라 확충 방안을 ‘제2공항 건설’로 결정한 배경에는 경제·환경성, 지역 상생 발전 등이 고려됐다. 정부는 그동안 제주도 공항 인프라 확충 타당성 검토 용역을 통해 ▲기존 공항 확장 ▲신공항 건설, 기존 공항 폐쇄 ▲기존 공항 운영, 제2공항 건설 등 세 가지 안을 놓고 검토했다.원희룡(오른쪽) 제주지사와 구성지 제주도의회 의장이 10일 오전 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제주공항 인프라 구축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공동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제주 연합뉴스 |
하지만 기존 제주공항을 바다 방향으로 두 배 확장하는 방안은 1.3㎞ 떨어진 바다를 평균 50m 높이로 메워야 하기 때문에 해양 환경이 훼손되고 9조 4000억원에 이르는 공사비가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지적됐다. 활주로 2본을 가진 대규모 신공항 건설 방안 역시 제주 지역 특성상 환경 훼손이 심하고 기존 공항 폐쇄에 따른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문제점으로 꼽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 공항 확장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반 이상 줄이고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제2공항 건설을 택했다. 오름이 많은 이 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 수요가 적고 땅값도 제주도에서 가장 싼 곳으로 알려져 토지 수용 비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항 건설에 따른 주민 피해도 감안됐다.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일대는 공항 건설에 따른 수용 가구가 60여 가구이고 직접 소음 피해를 입는 가구도 600여 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름이 많은 지역이지만 활주로를 건설, 수용하는 땅은 오름이 아닌 평지로 생태계 파괴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는 공항 부지로 500만㎡를 확보한 뒤 이 중 330만㎡에 활주로 1본을 우선 건설한 뒤 향후 수요 변화에 따라 확장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제2공항 연간 수용 인원은 2500만명으로 현재 제주공항 수용 인원과 같다. 공항 시설은 지상에서 항공기 이동을 최소화하고 안전을 담보하도록 항공기 이동에 따른 복잡한 동선을 피하고 유도 거리가 단축되도록 설계한다. 항공기 이착륙과 여객, 화물터미널, 항공기 정비 시설을 연결하는 에어사이드는 항공기 이착륙 지역과 터미널 지역의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
여객터미널 시설은 지상 접근 교통 시스템 및 에어사이드 시설과 조화롭게 연결되고 공항 주변의 전체적인 토지 이용 계획 아래에서 시설 개발 계획이 수립된다. 올해 말 예비타당성조사를 시작하고 설계 등의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 2018년 착공, 2024년 말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제2공항이 건설되기 전까지 늘어나는 수요에 대비해 기존 제주공항 확충 단기 대책은 그대로 추진된다. 제주도는 관광객 증가와 저비용항공시장 활성화로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항공권을 구하기 어려운 상태다. 2018년이면 제주공항이 완전 포화상태에 이른다. 제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2320만명을 기록했고 2018년에는 2830만명, 2025년에는 4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1-11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