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1만 7841곳 분석
벌어들인 돈으로 부채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만성적 한계기업’ 50% 이상이 제조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2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계기업 특성과 고용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이 3년 이상 100%를 넘지 못한 만성적 한계기업 가운데 제조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52.2%로 가장 높았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금융이자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분석하는 지표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면 영업이익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대출금이나 회사채 이자 지급도 못한다는 뜻이다. 고용정보원은 기업 1만 7841곳의 2005~2014년 재무정보를 분석했다.
만성적 한계기업 비중이 특히 높은 제조업 업종은 디스플레이(31.9%), 반도체(23.7%), 가전(19.1%), 철강(17.2%) 등이었다. 제조업 다음으로 만성적 한계기업이 많은 업종은 운수업(17.3%)이었고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0%), 도·소매업(5.8%)이 뒤를 이었다.
한계기업이 무너지면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시장에 한파가 몰아닥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 해 동안 늘어난 취업자 가운데 제조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3.2%에 불과했지만 2013년 20.4%, 2014년 27.4%, 2015년 46.3%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고용정보원 분석 결과 2013~2014년 고용을 10% 이상 줄인 한계기업 비율은 23.5%로 정상기업(10.4%)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특히 조선업과 섬유업종 한계기업은 고용을 10% 이상 줄인 기업 비중이 정상기업보다 20~24% 포인트 높았다. 정한나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제조업의 높은 한계기업 비중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4-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