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는 국민안전처의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 사업으로 안전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선정돼 2018년까지 추진한다. 안전사회 만들기는 안전문제로 인한 사망자 수를 줄이려는 생활밀착형 정책이다. 연간 8억~12억원의 재정 지원과 함께 컨설팅, 모니터링 작업이 뒤따른다.
구는 우선 추진지역으로 용답동을 선정했다. 용답동은 침수 취약지역으로 다가구, 다세대 주택이 밀집돼 절도 등 범죄 발생확률이 높은 곳이기도 하다. 안전환경 개선에 대한 주민들의 강력한 의지가 사업의 시발점이 됐다. 용답동 주민들은 그동안 자율적으로 안전협의체를 구성하고 ‘용답동 안전지도’를 만드는 등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에 구도 17개 유관기관과 실무 협력,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게 됐다.
사업의 주요내용은 ?통학로 등 보행환경 개선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 기법 적용 ?침수 예방작업 ?미니소방서 설치 ?실시간 재난안전 방송시스템 구축 등이다.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한 문화운동도 함께 추진한다. 기존의 ‘용답동 안전지도’를 보완 제작하고 안전 소식지 발행, 안전교육 상시 실시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사업에도 힘쓸 예정”이라면서 “주민들과 함께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표본이 될 수 있는 안전도시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