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0가구 이상 재건축 단지 설계단계 포함시켜 심의키로
0~5세 6단계로 구분해 운영전통문화·바둑 등 다양한 학습
지난해 기준 전국 국공립 어린이집 평균 입소 경쟁률 80대1. 자녀를 국공립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이 ‘로또’에 비유되는 이유다. 서초구가 ‘보육난 해소’와 ‘보육 서비스 질’ 향상의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서초구는 2500가구 이상 대규모 재건축 단지에 300명 규모의 ‘아이 좋은 학교형 어린이집’ 건립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전국 첫 시도다. 올 초 열린 주민들과의 ‘소통의 장’이 시발점이 됐다. 당시 학부모들은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집에 자리가 없어 자녀를 멀리까지 보내는 현실을 읍소했다. 이에 조은희 구청장은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했다.
서초구는 2500가구 이상 주민이 거주하는 재건축 단지에 학교형 국공립 어린이집을 유치할 예정이다. 새로 짓는 아파트 단지 설계 단계에서부터 300명 규모의 어린이집을 포함시켜 건축 심의 신청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예산을 절감하고 넓은 수용공간도 확보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대신 어린이집 면적만큼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인센티브를 준다. 구 관계자는 “반포 1·2·4지구에 600명, 한신 4지구에 500명, 신반포 3차에 400명 영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학교형 어린이집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아파트 단지의 어린이집은 100명 내외로 입소가 가능했다. 학교형 어린이집이 들어서면 한번에 3개 어린이집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조 구청장은 “학교형 어린이집을 통해 아파트 단지뿐 아니라 인근 지역 보육 수요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보육의 새로운 모델을 선도하는 서초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5-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