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공간 임대 수익 재원 활용…區 노후청사들 복합 시설 전환
서울 성동구가 동 주민센터 신축의 부족한 재원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지원받는다. 전국 처음으로 도입된 주민센터 위탁개발방식으로 신축 공간의 일부를 은행이나 커피숍으로 임대, 수익금으로 부족한 재원을 메우는 방식이다. 따라서 어려운 구 재정으로 차일피일 미뤘던 동 주민센터 신축 공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성동구는 위탁개발방식으로 성수1가2동(조감도) 등 지역 5곳의 노후화된 동 주민센터를 공공복합청사로 바꾸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구가 이번에 추진하는 위탁개발방식의 공공복합청사 건립은 동 청사를 신축할 때 부족한 일부 사업비를 캠코가 조달하고, 구에서는 수익시설 임대를 통해 상환하는 조건으로 대규모 재정투입 없이 필요시설을 지을 수 있다.
따라서 성수1가2동 등 30년 이상 된 동 주민센터가 노인복지센터, 보건지소 등 공공시설은 물론 은행, 커피숍 등 수익시설이 함께 배치되는 복합청사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는 주민편의를 위한 다양한 공간을 확보하고 구가 얻는 임대수익으로 사업비를 조기에 충당해 재정 부담을 크게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환이 완료되면 임대수익 전액이 앞으로 구 재정수입으로 확충된다. 성동구에서는 성수1가2동 공공복합청사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모두 5개 주민센터에 대해 차례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6-07-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