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급 대화 중 홍익인간 같은 용어 소개 땐 진땀”
“고위급 회담 통역은 사전 준비를 아무리 많이 해도 늘 진땀을 뺍니다. 만찬 테이블에서는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부터 북핵 문제, 어느 나라에 미인이 많다더라 등의 다양한 대화가 오고 갑니다.”스페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이홍주(35) 행정자치부 행정한류담당관실 통역관은 전 부처 고위급(장·차관급) 회담이 열릴 때마다 통역 지원을 나간다.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난 이 통역관은 5년째 행자부 공식 통역관으로 일하며 겪은 경험담을 털어놨다.
“통역관은 겉으로는 쉬우면서도 화려해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굉장히 고된 일입니다.” 이 통역관은 통역 지원 요청이 오면 최소 2~3일은 다음날 시험을 앞둔 것처럼 ‘벼락치기’ 공부를 한다고 했다. 특정 부처와 면담 대상국 간 현안은 물론, 지금까지 어떤 교류가 있어 왔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다. 국방, 금융, 통신 등 회담에서 다뤄지는 의제별로 익혀야 할 어휘와 이슈가 천차만별이다.
편도로 20시간이 넘게 걸리는 장거리 출장도 잦다. 그는 “1년에 대여섯 번 정도는 중남미 국가로 출장을 나간다”며 “중국, 일본처럼 우리나라와 왕래한 역사가 길진 않지만 칠레 등 우리가 시장 활로로 삼고 있는 중남미 국가들이 20여개국”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출장을 다니는 이 통역관에게 부러움의 시선이 쏠리지만, 그는 오히려 부담을 느낀다. 출장 중에는 늘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갑작스러운 언론인터뷰나 기자회견이 잡히면 정말 피가 마릅니다. 질의·응답 내용에 대해 사전정보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죠.”
육체적 고통도 따른다. 이 통역관은 ”외국에 오래 살았지만 비행기 멀미가 심한 편”이라며 “시차 적응도 안 된 상태에서 보통 나라별로 2일씩, 기본 3개국을 돌며 하루 평균 3개 일정을 소화한다”고 말했다. 특히 식사시간은 대부분 조찬, 오찬, 만찬 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건배사나 환담을 통역해야 하는 것도 이 통역관의 몫이다. 자정쯤 만찬을 겸한 행사가 마무리되면, 호텔방에서 샌드위치로 끼니를 떼우기 일쑤다.
그가 한국외대 스페인어과 졸업 후 같은 대학 통번역대학원에 진학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 통역관이 고위급 회담에서 하는 통역은 ‘순차통역’이다. 약 30초가량 키워드 위주로 적었다가, 문맥을 논리적으로 재구성해 한국어로 전달한다. ‘동시통역’은 주로 국제행사 때 부스 안에 2명씩 짝을 지어 들어가, 들리는 즉시 한국어로 바꿔 말하는 방식이다. “통역은 단순해 보이지만,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빠른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는 작업입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10-1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