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9일 자체 개발한 ‘탄소흡수 계수’로 자작나무의 탄소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자작나무숲 1㏊의 연간 탄소 흡수량이 6.8t으로 승용차 3대가 연간 배출하는 탄소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산소 생산량도 성인 20명이 한해 숨쉴 수 있는 5.0t에 달했다. 국내에 자작나무가 도입된 것은 30년 정도됐는데 가구재 용도로 강원·경북 일부에 2만 2442㏊가 조림됐다.
자작나무는 단풍이 아름답고 수피가 백색으로 이국적인 경관을 연출한다. 과학원은 고산지대에서 자라고 생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탄소 흡수와 산소 생산 효과 등 환경적 가치가 확인됨에 따라 다양한 활용을 기대하고 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