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26개 용어 순화·통일
국민안전처는 이처럼 해양오염방제와 관련된 일본식 한자어나 외래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26개를 선정해 순화하거나 통일했다고 밝혔다. 해양대 교수, 충북대 국어문화원, 해양환경관리공단, ㈔한국해양방제협회 관계자들에게 자문했다. 지금까지 전문가들 사이에만 통용될 뿐이라고 여기던 것들을 국민 편의를 돕자는 취지로 개선한 것이다. 때로는 오래전에 만든 용어여서 오염사고 때 심지어 전문가들마저 혀를 내두른다. 이에 따라 전장은 ‘설치’로, 갯닦기는 ‘닦아내기’로 바뀌었다.
해상에 떠도는 엷은 띠 모양의 기름에 물을 뿌려 분산시키는 작업을 말하는 ‘방산’(放散)도 ‘소멸’로 개선했다. 또 ‘밭갈이’ 대신 ‘갈아엎기’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지역의 해안가에 침투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조간대(만조 때의 해안선과 간조 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에 위치한 모래밭, 자갈밭 등을 갈아엎어 밀물 때 파도에 의해 기름이 씻기도록 하는 방제방법을 말한다. ‘오일스키머’(해면상의 기름을 기계적으로 흡입 또는 흡착해 회수하는 장비)는 ‘유회수기’로 통일됐다. 아울러 ‘오일스네어’(중질유를 부착하기 위해 여러 개의 인공 합성물질을 묶은 먼지털이와 유사한 형태의 방제자재)는 간단히 ‘부착재’라고 부른다.
안전처는 ‘지점’(땅 위의 일정한 점)과 비교해 바다 위 특정위치를 가리키는 ‘해점’, ‘월파’(파도가 방파제를 넘음), ‘좌주’(암초나 바위에 걸린 뒤 얹혀 있는 상태), ‘익수자’(물에 빠진 사람) 같은 용어들도 정비할 참이었지만 난항을 겪고 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12-23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