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에 절반 넘는 57% 발생…미끄러짐ㆍ넘어짐 61% 최다
겨울을 맞아 눈썰매장을 찾는 가족이 많은 가운데 눈썰매 사고 피해자의 71%가 9세 이하로 나타났다. 부모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월별로 보면 학생들 겨울방학 기간인 1월에 전체 사고의 절반을 넘는 39건(57%)이 발생했다. 12월, 2월이 각각 12건(17%)으로 뒤를 이었다. 사고 유형으로는 미끄러짐·넘어짐이 42건(61%)으로 가장 많았다. 썰매를 타고 내려오다가 부딪히는 사건도 18건(26%)이나 됐다.
눈썰매 사고로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는 머리나 얼굴이 36건(5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엉덩이·다리 등이 22건(32%)으로 뒤를 이었다.
행정안전부는 눈썰매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수칙을 이날 당부했다. 방수가 되는 겉옷을 입고, 안전모·무릎보호대 등 자신에게 맞는 보호장비를 착용한다. 눈썰매를 혼자 탈 수 있는 6세 이상 아동에겐 썰매 방향전환, 멈추기 등 간단한 안전수칙을 숙지시켜야 한다. 만약 아이가 뒤로 넘어져 머리를 부딪힌 후 울음을 그치지 않거나 구토·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아이가 갑작스럽게 감정변화를 보이거나 심한 피로감을 보이면 저체온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야외에서 눈썰매를 탈 때는 피부색 등 아이의 몸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따뜻한 음료·간식을 먹여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1-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