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월곡아파트, 최저임금 보장 계약…경비원·주민 상생 모범 현장 찾아
서울 성북구의 한 아파트 경비원과 주민이 보여준 상생을 배우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다녀가 눈길을 끌고 있다.
|
지난 14일 서울 성북구 상월곡동 동아에코빌 아파트를 방문한 김현미(왼쪽) 국토교통부 장관이 경비원에게 목도리를 선물하고 직접 매주고 있다. 성북구 제공 |
지난 14일 김 장관은 해당 아파트를 방문, 입주민과 경비원 상생방안에 대해 들었다. 문 대통령 역시 2015년 당대표 시절 이 아파트를 방문해 경비원 고용안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갔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그 어느 때보다 고용불안이 높은 가운데, 경비원과 더불어 행복을 선택한 아파트 입주민들의 남다른 선택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석관동에 있는 석관두산아파트 역시 동행계약서를 작성한 곳 중 하나다. 석관두산아파트는 절약한 전기료를 경비원과 미화원의 최저임금 보장과 고용 안정에 활용하고 있다. 석관두산아파트는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 조명, 가로등을 발광다이오드(LED)로 바꿨다. 세대별 노력도 이어졌다. 주민들은 TV조명 낮추기, 안 쓰는 전자제품 코드 뽑기 등을 실천해 1년에 최대 1억 8000만원의 전기료를 아꼈다. 석관두산아파트의 사례가 알려지자 ‘우리도 해보자’며 동참하는 아파트가 늘었다. 현재 성북구 전체 151개 공동주택 중 73개 단지가 동행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동참의 뜻을 보이는 단지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성북구 역시 주민에게서 나온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았다. 구는 진행하는 위탁·수탁 계약과 업무협약, 근로계약 등에 동행계약서를 전면 도입했다. 또 성북구의 핵심브랜드를 동행으로 선정했다.
나아가 성북구는 동행을 구체화, 수치화하기 위해 ‘동행지수’를 개발하기도 했다. 동행지수는 전국 최초로 공동주택 경비원의 근무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지수화한 값이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마을 민주주의라는 절차를 통해 작은 것 하나부터 주민이 모두 참여하고 함께 변화를 만들어 갔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에도 성북구는 안정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