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생활안전사고’ DB 분석
2015년 26만건→작년 42만건 급증2위 동물 포획·3위 잠금장치 개방 생활안전사고 관련 119 출동 건수 중 벌집 제거 요청이 3분의1 이상으로 나타났다. 생활안전사고 관련 119 출동 건수도 꾸준히 늘어 소방공무원당 출동 건수도 늘었다.
10일 통계청과 소방청이 2015∼2017년 생활안전사고 데이터베이스(DB)를 시범 구축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방공무원 1인당 생활안전사고 출동 건수는 2015년 6건, 2016년 8.4건, 2017년 8.9건으로 늘었다. 출동 건수도 2015년 26만 4327건, 2016년 35만 6523건, 2017년 42만 3473건으로 증가세다.
생활안전사고 원인은 2017년 기준 벌집 제거 15만 9000건, 동물 포획 12만 6000건, 잠금장치 개방 7만건 등 순서로 분석됐다. 벌집 제거는 전년보다 줄었지만 전체 중 37.5%로 여전히 비중이 가장 컸고, 동물 포획과 잠금장치 개방은 매년 출동 건수가 늘었다.
매년 총출동 건수 중 50% 이상이 7∼9월에 집중됐다. 이는 벌집 신고가 이 시기에 많이 이뤄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출동이 많은 시간은 오전 9∼10시, 오전 10∼11시, 오후 1∼2시 등이었다.
발생 장소별 원인 분석을 보면 공동주택은 잠금장치 개방이 많았고 단독주택은 벌집 제거, 도로·철도는 동물 포획이 다수를 차지했다.
통계청과 소방청은 안전사고 예방과 감소를 위해 구조 활동 관련 빅데이터에서 통계를 추출·분석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12-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