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 부위원장은 “선진국에서는 독성물질 중독이 의심될 때 응급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센터에서 응급 상담, 위험 관리, 중독 예방 등의 정보를 전달해 의료비용 감소와 치료 기간을 단축 하는 등 효용이 크다.”라고 언급하며 “한국의 경우 응급실을 가는 것 외에 다른 조치 방법이 없어 일원화된 관리체계인 ‘중독관리센터’를 갖추고자 조례를 제정했다.”라고 제정 이유를 밝혔다.
‘중독관리센터’는 중독사고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 독성물질 정보 제공 ▲ 중독 사고 발생 시 응급의료 정보의 제공 ▲ 독성물질 과노출·사고에 대한 전화 및 인터넷 상담 서비스 실시 ▲ 화학물질의 올바른 사용 정보 제공 ▲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 중독사고에 대한 조사 ▲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계 구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가습기 살균제 사건, 라돈 침대 파문 등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생활용품 유해물질 정보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중독관리센터’는 시민의 불안 해소와 건강권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정책이다.”라고 전하며 “조례를 통해 설립될 ‘중독관리센터’는 가정에서의 응급처치, 사후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앞으로도 서울시가 시민 사회 안전망 확충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오 부위원장은 지난 2018년 11월 시정질문을 통해 ‘유해물질 중독관리센터(Poison Control Center)’의 설치를 촉구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시민의 불안 해소와 건강권 보호를 위해 정책 고민에 힘쓰겠다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