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심장부 도로공간 재편
‘서울광장 2배’ 1만 4000㎡에 보행 공간명소별로 나무 심어 3328㎡ 녹지대 조성
세종대로 전 구간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교통섬’ 숭례문도 연결해 상권벨트 형성 서울 도심의 심장부인 세종대로의 차로가 2~3개 줄어들고 대신 보행로는 확대된다. 차도로 둘러싸인 숭례문 주변에도 보행로가 새롭게 조성돼 광화문광장에서 덕수궁과 숭례문을 거쳐 서울로7017까지 이어지는 세종대로 보행길이 차도로 끊긴 구간 없이 모두 연결된다.
서울시는 도로 공간 재편 사업의 핵심인 세종대로 사거리~숭례문~서울역 교차로 1.5㎞ 구간 공사를 5월 착공해 올해 말 완료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도로 공간 재편 사업은 차로 수나 폭을 줄이고 이를 통해 확보된 공간에 보행안전시설, 편의시설, 자전거 전용도로 등을 조성해 도로 환경을 자동차에서 사람 중심으로 바꾸는 내용이다.
세종대로 교차로~서울역 교차로 구간은 기존 9~12차로에서 7~9차로로 축소된다. 차도가 줄어든 공간엔 서울광장(6449㎡) 면적의 2배가 넘는 보행 공간(1만 3950㎡)이 생긴다. 시는 보행 공간을 연결하는 횡단보도는 차도보다 높고 보도와 높이가 같은 ‘고원식’으로 바꾸고, 실제 보행 동선을 감안해 위치도 조정한다.
차도로 둘러싸여 보행길이 끊긴 숭례문 주변에 신설될 보행 공간 조감도. 이 경우 세종대로 사거리~숭례문~서울역 교차로 1.5㎞ 구간에 이르는 세종대로 보행로가 완성된다. 서울시 제공 |
확대되는 보행 공간엔 이팝나무, 느티나무, 청단풍 등 19종의 나무를 심어 3328㎡ 규모의 녹지대도 만든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앞엔 단풍나무 숲, 덕수궁 대한문 앞엔 소나무 숲, 남대문 앞 광장엔 느티나무 숲 등 명소별 특색을 살린 숲을 조성한다. 북창동 보도엔 기존 은행나무 옆으로 이팝나무를 심어 가로수 터널을 만든다. 덕수궁 대한문 앞 보도는 최소 6m 이상 넓어진다. 현재 580㎡ 규모의 역사문화광장도 2배 이상 커진다. 서울시는 역사문화광장과 인근 정동길을 연계해 다양한 역사·문화 행사도 열고, 서울의 근현대사를 재조명하는 보행 코스도 개발한다.
서울시는 세종대로 공간 재편이 끝나면 북창동~남대문시장~서울역이 연결되는 ‘삼각 상권벨트’가 형성돼 이 일대 상권 간 시너지 효과로 침체된 주변 상권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랜 시간 우리나라를 대표해 온 세종대로 재편 사업을 통해 광화문부터 숭례문을 거쳐 서울로7017까지 ‘걷는 도시, 서울’ 정책을 상징하는 서울 대표 보행길 브랜드를 만들겠다”면서 “자동차 중심인 서울 도심을 보행자 중심으로 바꾸어 관광 경쟁력도 높이고 지역 경제도 살리겠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4-2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