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스마트쉘터 대당 설치비 최대 8억 원, 엄격한 검증 필요
|
서울시는 지난 6월, 10개의 중앙 버스전용차로 버스정류소에 스마트쉘터를 시범 도입하고, 내년부터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소 387개 (22개 노선, 765대 승차대)를 스마트쉘터로 전면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쉘터(Smart Shelter)란 천정형 공기청정기, 실내·외 공기질 측정기, 자외선(UV)에어커튼, 미세먼지 정보제공시스템 등 다양한 기능을 집약된 미래형 버스정류소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아우르는 스마트쉘터를 서울시가 세계 최초로 시도하겠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나, 막대한 예산을 들여 기존 버스쉘터를 필요 이상 고급 사양화하는 것에 대해 시민들의 공감을 이끌어낼지는 의문이다.
추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쉘터는 대당 약 4.7억~8억 원이다. 민간업체에서 설치한 비슷한 기능을 가진 스마트에코쉘터(양재역)가 대당 6000만 원인 점, 스마트 기능이 없는 기존 버스쉘터가 약 3.5억 원인 점을 감안하면 도입 예정인 스마트쉘터의 엄격한 검증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9월 서울시는 스마트쉘터 예산수립 당시 총사업비 10억 원을 들여 사업을 추진하고자 했으나, 올해 총사업비 16억 원으로 변경해 주먹구구식 운영을 비판 받았다.
추 의원은 “스마트쉘터 사업을 착수하면 기존에 있는 정류소 시설물을 철거하고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스마트쉘터가 전면 확대되면 공사기간 동안 400만 명에 달하는 버스이용 시민들은 극심한 불편을 겪게 되고, 보행 안전문제도 가중될 것”을 지적하며, “JC데코 간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계약만료 정류소 시설물에 대한 관리방안과 더불어 스마트쉘터의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