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박관열 의원은 “소통협치국은 사회적경제조직을 아우르고 지원해주는 대표적 실·국이다”고 말하면서 “하지만 정작 사회적경제기업 물품 구매에 앞장서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매우 저조하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박 의원은 “경기도 31개 시·군에 사회적기업이 709곳으로 적지 않은 수치인데, 사회적기업 지원 예산의 시·군비 부담이 크다. 재정자립도가 현저히 낮은 시·군에 대해서는 차등보조율을 적용하고 도비를 좀 더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보라”고 주문했다.
소통협치국 서남권 국장은 “사회적기업의 지원예산은 중앙부처사업으로 국-도-시·군비 비율이 정해져있다”고 말하고 “예산부담비율을 즉시 바꾸는 것은 어려우나, 의원님 의견을 반영하여 도 자체사업을 발굴해 시·군 및 기업에 직접 지원하는 방안을 고심하겠다”고 답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