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제조업체에 총 193억 긴급 수혈
의류 등 업종 고용 유지 조건 지급1606개 업체 9000명 일자리 지켜
|
도시제조업 긴급사업비 지원 현황 |
성동패션봉제협회 회장을 맡은 박씨는 지난 5월 서울시가 의류제조업 등 서울 4대 제조업에 대해 긴급 수혈자금을 지원한다는 소식을 듣고 곧바로 신청했다. 7월에 500만원, 이달에 500만원 등 총 1000만원을 받았다. 이 돈으로 디지털프린트기계 임차비를 내고 샘플을 제작해 간간이 들어오는 주문을 맞출 수 있었다. 박씨는 “서울시의 지원이 없었으면 영영 공장 문을 닫았을지도 모른다”며 “저를 포함한 봉제공장 사장님들이 모두 좌절했는데 그나마 희망을 줘서 버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서울시는 도시제조업체에 최대 3000만원을 긴급 수혈했다. 고용 위기가 고용 절벽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의류봉제, 수제화, 인쇄, 기계 등 4대 도시제조업을 선정해 긴급사업비를 지원했다. 신청이 이어지자 출판제조, 전기장비 등 다른 제조업으로 확대됐다.
도시제조업 긴급사업비는 지역의 기반 산업과 고용 위기 노동자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제품 기획 및 제작, 마케팅 등 사업비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하고 인건비, 임대료, 운영비로는 사용할 수 없게 했다. 최소 3개월간 종사자 고용을 유지하는 조건이다. 업체에 따라 10인 미만은 1000만원, 20인 미만은 2000만원, 50인 미만은 3000만원 이하 금액을 지원했다. 지난 6월 신청을 받은 뒤 7월에 지급했고, 고용 유지 여부를 확인하고 나머지 금액을 지급했다.
1차 공모에서는 총 1351개 업체가 신청했고, 심사를 거쳐 1253개가 선정돼 150억원을 지원했다. 추가 공모에서는 999개 업체가 신청했고, 353개가 선정돼 43억원을 지원했다. 총 1606개 업체 192억 7100만원에 달한다. 시 관계자는 “3개월 고용 유지 조건으로 약 9000개의 일자리를 사수했다”며 “인건비나 다른 용도가 아닌 사업비 목적으로 사용하면서 업체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2020-11-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