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10일 밝힌 ‘초고령사회 대비 고령 운전자를 고려한 도로교통 시설 개선 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고령 운전면허 소지자는 2009년 118만명에서 2019년 333만명으로 10년 새 2.8배(215만명) 늘었다.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건수도 2009년 1만 2000건에서 2019년 3만 3000건으로 2.7배(2만 1000건) 증가했다.
시설 개선방안으로 교차로의 교차각을 최소 75도 이상(보통은 90도)으로 유지해 시야를 더 확보하고, 신호 교차로 시거(운전자가 교차로 전방에서 신호를 인지하고 판단할 수 있는 최소거리) 산정 시 반응시간을 현행 6초에서 8.5초로 늘려 대처할 여유를 충분히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령 운전자는 20대보다 도로표지 판독 시간이 2배 걸리고 오독률도 3~4배로 높아 규격을 키우고 도로 형태와 일치하는 안내표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21-01-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