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민원 발생지 토대로 분석·예측
사전방역 필요한 곳에 선제적 대응
구는 행정안전부와 협업해 월별로 해충 관련 민원 발생지역을 분석·예측하고 선제적인 방역을 추진한다. 먼저 구가 보유한 해충민원 발생건수, 건축물, 거주인구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안부가 소상공인 업소정보, 기상정보 등 외부데이터를 결합해 분석했다.
분석은 방역이 가능한 모든 지역을 가로세로 100m씩 격자로 나눠 구간별로 해충민원 발생 확률을 예측하고 이를 지도에 시각화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데이터 분석결과 온도·강수량 등 기상조건과 건축물 연식·개수 등 도시환경이 해충민원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월별로 사전 방역이 필요한 지점을 파악했다.
또 주택가 등에 설치된 ‘해충퇴치기’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설치 지역의 모기 관련 민원이 미설치 지역 대비 약 62.5%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이번 분석결과를 해충방역 업무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오는 6월까지 바퀴벌레에 대한 우선방역 예측지점 위주로 집중방역하고, 모기민원 빈발 예상지점에는 모기방역 소독전담반을 구성해 소독·모기유충 구제 등 방역활동을 10월까지 진행한다. 더불어 모기 민원 발생이 높은 지역에 해충퇴치기를 점진적으로 확대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1-06-0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