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따라 남쪽으로 이동 양상 보여
피해 양돈농가 “총기 적극적 사용” 요구
정부 “총기 포획 시 멧돼지 확산 가능성
제한적 총기 사용·개체수 저감대책 병행” 지난 8월 한 달간 강원 고성·인제·홍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양돈농가 감염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매개체인 야생 멧돼지 포획을 위해 총기 사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정부는 역효과를 우려해 신중한 입장이다. 9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2019년 10월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에서 야생 멧돼지 ASF 감염이 첫 확인된 후 올해 9월 현재 2개 도, 16개 시군에서 총 1592건의 감염개체가 발견됐다. 발생지역은 경기 4곳(파주·연천·포천·가평), 강원 12곳(철원·화천·양구·고성·인제·춘천·영월·양양·강릉·홍천·평창·속초)으로 동남진하고 있다. 양돈농가 감염은 현재 20건이다.
발생지역이 확대되면서 감염체 발생이 적었던 7월 55건, 8월 89건이 확인되는 등 감염체가 늘고 있다. 환경부는 ASF 확산 차단 대책을 발생상황별 사후 긴급 대응에서 관리지역별 대응으로 전환했다. 경기·강원북부는 기존발생지역, 평창·강릉·홍천 등 최근 발생이 늘어난 경기·강원 중부는 핵심대책지역, ASF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확산 위험이 높은 강원 남부지역은 사전예방지역으로 분류해 차별화된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지수 환경부 야생동물질병관리팀장은 “감염 야생 멧돼지들이 동쪽으로 퍼진 후 백두대간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충북·경북 지역 확산 차단을 위해 강원 중부까지 관리지역을 확대하고 남부권에서는 개체수 저감 등 선제적 오염원 제거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
총기 포획을 전면 금지한 것은 아니다. 기존·핵심대책지역과 멧돼지 밀도가 높은 지역은 소지역 단위로 제한적 총기 포획을 실시한다. 사전예방지역은 적극적으로 활용해 개체수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농작물 피해 및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지역도 일시 총기 사용을 허용하는 등 ‘상황별 대응’ 방침을 마련했다. 노희경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은 “홍천과 평창 지역에서 광역수렵장을 운영하고 춘천에서 전문 엽사를 투입한 결과 개체수를 사전에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면서도 “지역에 따라 야생 멧돼지 밀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1-09-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