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업은 시·군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외 앵커 기업(기업과 지역 산업계를 이끄는 선도기업)의 경기도 투자유치를 유도하고, 다양한 민간투자 프로젝트 사업 타당성 분석 등으로 투자 성공률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기도는 그동안 축적한 다양한 투자유치 방법을 활용해 시·군의 투자유치사업 성공률을 높이고, 도의 광역 산업육성전략과 시·군의 중점산업 성장전략을 접목함으로써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찾아가는 시·군 투자유치 컨설팅은 1단계 ‘사업 타당성 분석 서비스’, 2단계 ‘개발·제조 프로젝트매니저를 활용한 투자유치 동행 서비스’, 3단계 ‘실효성 있는 투자 자문보고서 제공 서비스’ 3단계로 운영된다.
1단계에서는 신용평가정보기관을 통한 투자 의향 기업의 재정 분석과 전문 투자자를 통한 사업계획의 적정석 분석 등을 지원해 시·군이 추진 중인 투자사업에 대해 타당성을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3단계에서는 각 시·군 투자유치 사업부서에 사업별 투자 타당성 등을 담은 자문보고서를 제공해 쟁점 최소화 등 성공적인 투자사업이 이뤄질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도는 투자진흥과장을 단장으로 하는 ‘찾아가는 투자유치서비스단’을 운영하고 연간 2회 시·군을 찾아가 부단체장 주재로 투자유치 정기 연석회의를 개최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특정 사업에 대한 사전 요청이 있을 경우 외부산업전문가와 경기도 투자유치자문위원 등의 전문적인 자문도 활용할 방침이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