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경영평가 채용 실적 반영
6개월 인턴도 1만명으로 확대
상위 20% ‘정규직 입사’ 우대
기획재정부는 18일 이런 내용의 ‘2024년 공공기관 청년인턴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347개 공공기관은 내년 상반기에 청년인턴 1만 3000명(60%)을 우선 채용하고 하반기에 9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인턴 기간은 2~3개월부터 9개월(연구직)까지 다양하다.
기재부는 계약 기간 6개월짜리 청년인턴 1만명 채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전체 채용 규모의 절반(45.5%)에 이른다. 지난달 청년인턴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요자들이 가장 원하는 기간이 6개월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들이 업무를 파악하고 경험을 쌓는 데 6개월을 최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업무수행 능력과 태도 평가에서 상위 20%에 들어간 인턴에게는 우수 수료증과 우수 인턴 추천서가 발급된다. 우수 인턴은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 응시 때 ‘서류평가 면제, 가점 5% 부여’ 등 우대를 받는다. 기재부는 공공기관의 ‘6개월 인턴 채용 실적’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처음 반영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6개월 청년인턴 채용 규모가 정원의 3.5%를 넘으면 만점을 부여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월 청년의 날 기념식에서 정부 부처 청년인턴을 5000명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고, 기재부도 ‘청년인턴 채용 실적’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하겠다는 계획을 예고해 왔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매년 6월 공기업·준정부기관·기타공공기관 등 공공기관의 전년도 경영 실적을 탁월(S), 우수(A), 양호(B), 보통(C), 미흡(D), 아주 미흡(E) 등 5등급으로 평가해 발표한다. 경영 실적이 부진한 공공기관은 성과급이 삭감될 뿐만 아니라 2년 연속 D 이하를 받으면 기관장 해임 건의가 이뤄질 수 있어 모든 공공기관이 정부의 경영평가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기재부도 “정부가 공공기관을 모니터링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 경영평가이고, 공공기관은 단 1점의 가점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밝혔다.
세종 이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