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낙동강 등 안전관리 초비상
차단막 등 사후 대응으론 역부족
“녹조 대책 수립 컨트롤 타워 필요”
6일 전국 지자체와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장마가 끝난 뒤 불볕더위가 계속되면서 식수원마다 녹조가 발생해 안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소양강댐, 대청호, 낙동강 상류, 용담댐 등 전국 주요 식수원은 지난달 하순부터 녹조가 발생하기 시작해 갈수록 남조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
금강수계는 3개 지점에 조류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고 낙동강수계 4개 지점도 한 때 관심 단계가 발령됐다. 지난달 29일 기준 금강수계 5곳, 낙동강수계 5곳 등 10개 지점이 남조류 세포가 ㎖당 1000개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더위 기세가 꺾이지 않아 남조류 수치가 급증한 곳이 늘면서 녹조 경보 발령 지역은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식수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는 예방보다 사후 대응책에 주력한다. 전국 주요 식수원에 녹조제거선, 수면포기기, 녹조차단막 등을 운영하나 방대한 수면에 창궐한 녹조를 처리하기는 역부족이다. 전북의 식수원인 진안 용담댐의 경우 이달 말에야 겨우 녹조제거선 1척이 배정된다. 임실 옥정호는 녹조제거선 2척과 12기의 수면포기기 가동되나 녹조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지자체는 체계적으로 녹조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컨트롤 타워와 전담 기구가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낙동강 녹조로 골머리를 앓는 경남도는 지난해부터 ‘국가녹조대응센터’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녹조 원인 규명과 저감 대책 수립, 녹조 제거 기법 연구개발 사업 추진 등을 전담하는 기구가 설치돼야 갈수록 심각해지는 녹조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북도 역시 “녹조는 발생하면 제거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상류 오염원 관리를 철저히 해 원인을 최소화하는 게 최선”이라는 입장이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식수원을 녹조로부터 안전하게 지키는 첨병 역할을 담당할 국가기관을 조속히 설립해 최소한 수돗물만큼은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