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사고 2018년 1057건, 2022년 1384건
경북, 경남, 전남 순
최근 5년간 농기계 사고로 400여명이 사망했다. 부상자를 포함한 사상율도 80%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 수확기 안전사고 주의가 요구된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농기계 사고는 5907건이 발생했다. 사망자 398명을 포함 다친 사람이 무려 4593명으로 사상율이 78%에 달한다.
실제로 지난 추석 연휴 농사일을 돕던 A씨는 한 과수원 인근에서 이동형 농약살포기가 밭으로 추락한 탓에 농기계에 깔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지난달 30일에는 해남 송지면 한 논에서 50대 남성 B씨가 경운기에 깔려 심폐소생술(CPR)을 받으며 인근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농기계 사고는 2018년 1057건, 2019년 1121건, 2020년 1269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1076건으로 소폭 감소하다 2022년 1384건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해 5년 사이 가장 많이 일어났다.
농촌현장에서 트랙터나 경운기 등 농기계로 인한 사고가 매년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기계 사고는 그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면 중상을 입거나 숨질 가능성이 더욱 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 의원은 “본격적으로 가을 수확 철이 시작되면서 농기계 사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사고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농기계에 의한 안전사고는 농민들에게 가장 위험성이 큰 재난이다”고 설명했다. 문 의원은 “사고 예방을 위해 농기계 사용자에 대한 지도 교육 강화와 사고 유형에 맞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안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