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민원 발생도 27%나 감소
운행 횟수 늘고 막차 시간 준수율↑
지난해 1월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도입한 경기도는 시내버스 315개 노선 2142대를 대상으로 한 시내버스 전 분야에 대한 평가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국민신문고 등으로 접수된 시내버스 민원 발생 건수는 2023년 1895건에서 지난해 1392건으로 27% 줄었고, 31개 시군에서 실시한 행정처분 건수도 2023년 404건에서 지난해 342건으로 15% 감소했다. 시내버스 교통사고도 2023년 1070건에서 지난해 732건으로 32%나 대폭 줄었다. 운행 횟수 준수율은 2023년 88%에서 지난해 99%로 11%포인트 높아졌고, 막차 시간 준수율도 2023년 84%에서 지난해 89%로 5%P 높아졌다.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보급률은 2023년 36%에서 지난해 49%로 13%P 높아졌고, 평균 차령도 2023년 6.0년에서 지난해 5.7년으로 0.3년 감소했다.
경기도는 노선 단위의 종합평가를 해마다 실시하고, 3년 단위로 공공관리제 갱신 여부를 결정한다. 경기도는 지난달 현재 시내버스 339개 노선 2255대를 공공관리제로 시행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경기도 시내버스 1649개 노선 6187대를 모두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안승순 기자
2025-02-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