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부족한 농촌·외곽지
버스요금 수준만 부담하면 돼
경기도는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부족한 농촌이나 외곽지역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운영 마을’을 총 765개로 확대,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수요응답형 복지택시는 대중교통 여건이 열악한 마을을 선정해 지역에서 시군별로 책정된 버스 요금 수준(1000~ 2000원)만 부담하면 된다.
경기도에는 현재 ‘경기복지택시(도비 지원)’, ‘공공형택시(국토교통부 지원)’, ‘농촌형택시(농림축산식품부 지원)’ 등 세 가지 형태의 수요응답형 복지택시가 운행 중이다. 이용자 자부담 외 나머지 비용은 국가, 경기도, 시군이 분담한다.
올해 경기복지택시에는 도비 31억 1600만 원, 공공형택시에는 국비와 시비 71억 4200만 원, 농촌형택시에 국비와 시비 9억 6800만 원 등 총 112억 3000만원이 투입된다.
경기도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사업 참가 마을은 2020년 372개에서 지난해 761개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80만명 이상이 이용했다.
안승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