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주민 주도형 안전 개선 사업 ‘안전통학로 리빙랩’ 추진,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 주민이 함께 통학로 문제 발굴·개선 방안 도출
2022년부터 ‘메타버스 활용한 리빙랩 도입, 반응형 키봇, 스마트 반사경, 지능형 전광판, CCTV 등 다양한 스마트 안전시설 통학로 곳곳 설치
5월부터 응봉·무학·행현·경수초 등 관내 4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84명을 대상 리빙랩 수업 진행, 주민 체감 높이는 생활밀착형 안전 정책 펼칠 것
서울 성동구가 어린이들의 안전한 등하굣길 조성을 위해 ‘안전통학로 리빙랩’ 사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안전통학로 리빙랩’은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 주민이 함께 통학로 문제를 발굴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참여형 정책 모델이다. 2018년부터 시작된 구의 대표적인 주민 주도형 안전 개선 사업으로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 개선책 모색이라는 점에서 주민들의 호응이 높다고 구는 전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관내 21개 초등학교가 참여해 총 94건의 안전 문제를 해결했으며, 2022년부터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리빙랩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로블록스(Roblox) 플랫폼에 실제 통학로와 유사한 가상 공간을 구현해 학생들이 게임을 통해 통학로를 체험하며 위험 요소를 찾아내고 조별 토론을 통해 통학로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39개의 해결책이 도출됐다. 반응형 키봇, 스마트 반사경, 지능형 전광판, 지능형 무인 카메라(CCTV) 등 다양한 스마트 안전시설이 통학로 곳곳에 설치됐다.
올해는 5월부터 응봉·무학·행현·경수초 등 관내 4개 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리빙랩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학생들을 비롯한 주민들의 직접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 통학로 리빙랩’ 사업을 추진해 통학로 안전 문제 해결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안전 정책으로 모두가 안심하는 도시 성동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비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