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부총리 취임 후 첫 총재 예방
거시경제 회의체 F4회의 향방에
“조직개편 따라서 F3 될 가능성”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취임 후 처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를 예방해 비공개 면담을 했다. 구 부총리는 ‘한국 경제를 위한 원팀’을 이루겠다고 강조했고, 이 총재는 적극 화답했다.
구 부총리는 이 총재에게 “한은이 심도 있는 분석과 정책 제언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총재는 “한은의 연구역량을 활용해 구조개혁의 구체적 실천 방향을 마련하는 데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부총리와 한은총재·금융위원장·금감원장의 회의체인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일명 ‘F4 회의’)의 정례화와 관련해 구 부총리는 “조직개편에 따라 F4가 될지 F3가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소통하고 원팀이 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그런 측면에서 잘 운영할 것”이라고 했다.
두 기관 사이에 훈풍이 분 것은 근래 들어서다. 외환위기를 계기로 1998년 개정 한국은행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한은의 독립성이 보장되지도 않았다. 기재부의 전신인 재무부에선 공공연하게 한은을 ‘재무부 남대문 출장소’로 불렀다. 한은의 ‘기준금리 조정과 통화량 조절을 통한 물가 관리’와 기재부의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정책’이 엇박자를 빚으며 두 기관의 수장이 상호 비판하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 때가 정점이었다. 강만수 당시 기재부 장관은 “한은의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며 이성태 한은 총재를 압박했다.
2022년 추경호 전 부총리 때부터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한 파이낸스4(F4) 회의라는 별칭이 붙은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가 열리면서 양측은 협력 관계로 전환됐다. 지난해 최상목 전 부총리 때는 이 총재가 한은 총재로선 처음으로 세종의 기재부 청사를 직접 방문하는 ‘역사’를 썼다.
세종 이영준 기자
2025-08-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