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 더 멀어진 러우회담
우크라, 러 중부 진입 사실 첫 인정협상 지지부진한 가운데 진격 확대
에너지 시설 노려 협상 지렛대 삼아
트럼프, 바닥난 인내심 보이며 압박
“세계전쟁 아니어도 경제전쟁 될 것”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26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이 접전 지역을 돌파해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지역까지 진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가 자국 영토로의 편입을 주장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4개주를 넘어 중부까지 서진하면서 양국 간 종전 회담 변수가 복잡해질 전망이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트레구보우 드니프로작전전략군 대변인은 이날 “그들(러시아군)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에) 진입했으며 현재까지 전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측이 이 지역에 러시아군이 진입한 사실을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날에도 러시아 국방부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접경 지역에 위치한 자포리즈케 마을을 점령했다고 밝혔으나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는 이를 부인한 바 있다.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는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러시아가 상당 부분을 점령해 자국 영토로 편입했다고 주장한 동부 4개주가 아닌 새로운 지역이다. 러시아가 75뉴를 장악하고 미점령 지역까지 통째로 달라고 요구하는 도네츠크주와 맞닿아 있다. 전쟁 전 이 지역은 인구 300만명 이상인 중공업 중심지이자 산업 요충지였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달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한 마을을 장악했다고 주장하며 진격 확대를 알렸으나 우크라이나는 일관되게 부인해 왔다. 그러나 이날 발표로 상황이 달라졌다. 미러 정상회담 이후에도 종전 논의에 뚜렷한 진척이 없는 상태에서 양국의 영토 공방전까지 확대되며 휴전조차 한 발 더 멀어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양측은 석유·가스·전기 등 에너지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 수위까지 높이며 협상의 지렛대로 삼으려는 모양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이 이달에만 최소 10차례 이상 러시아 남서부·중부 정유 시설들을 공격해 이달 중순까지 러시아의 휘발유 도매가가 12% 급등했다. 러시아 역시 최근 우크라이나의 가스, 전기, 열병합발전소 등을 집중 타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연간 가스 수요량의 5%가량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연 기자
2025-08-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