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형석 도의원 “뚜렷한 목표와 성과 기준 없는 예산 투입은 문제”
전국 최초로 전남지역에 문을 여는 직업 교육 전문 공립형 대안학교인 ‘전남미래국제고등학교’의 목표와 성과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전남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3월 강진군에 신입생 90명 목표로 전남미래국제고등학교가 들어선다. 전남미래국제고는 설비시스템과, 스마트전기과, 건축시공과 등 3개 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과 직업 관련 전문 교과를 연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이주배경 및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직업교육과 글로벌 진로 역량을 함께 기를 기회를 줄 예정이다.
전남도교육청이 추진하는 이주배경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 선발 국가는 베트남(18명), 몽골(25명), 우즈베키스탄(10명), 카자흐스탄(10명) 등이다.
전남교육청은 지난 8월부터 지난달까지 베트남 하노이 등에서 한국어 능력, 한국에 대한 이해도, 진로 계획 등을 평가하는 전남미래국제고 2026학년도 외국인 유학생 선발 면접을 보기도 했다. 이달에는 국내 거주 이주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별도 전형도 한다.
임형석(광양1) 전남도의원은 “미래국제고 정원 90명 중 70%가 유학생인 직업계고인데도 졸업 후 전혀 다른 분야의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다”며 “유학생 유치 목적을 정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교육비특별회계로 직업계고 학생을 유치했으면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을 배워 그 산업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한다”며 “유학생들이 단순히 한국의 교육과정을 거쳐 대학에 진학한다면 어학원이나 유학원처럼 거쳐 가는 과정의 일부로 보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대해 김영신 교육국장은 “한국어 수준에 차이가 많아 학기 중, 방학 그리고 개별프로그램을 통해 보완하고 있다”며 “입시 요강을 공고히 하는 등 예산이 투입되는 성과가 나타날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무안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