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연간 주요 유통업체 매출 8.2% 증가 |
- 오프라인 2.0% 증가, 온라인 15.0% 증가 (전년 대비) |
['24년 연간]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2.0%)과 온라인(15.0%) 모두 상승하여 전년동기 대비 8.2% 증가하였다. 오프라인은 대형마트(△0.8%)는 감소하였고 백화점(1.4%)·편의점(4.3%)·준대규모점포(4.6%) 등은 매출이 증가하였다. 대형마트는 식품군(2.3%)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비식품군(△7.9%)이 부진하였으며, 준대규모점포는 점포수 증가, 집밥 수요 확대, 집근처 소량 구매 증가 추세 등으로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편의점은 꾸준히 플러스 성장을 하여 매출비중이 '24년 하반기에 잠시 백화점을 추월하기도 하였으나 백화점의 크리스마스 등 12월 특수로 인해 연간 집계 결과 0.1%p 차이로 백화점 비중을 넘어서지 못했다. 온라인은 해외 플랫폼 국내진출 강화, 티메프 사태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는 식품(22.1%), 서비스(58.3%, e-쿠폰, 음식배달, 공연·여행티켓 등) 분야를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하였고, 온라인으로 소비채널 이동이 가속화됨에 따라 온·오프라인의 매출 증가폭 차이는 전년에 비해 크게 벌어졌다.('23년 1.5%p→'24년 13%p) 온·오프라인 전체의 상품군별 매출비중은 소비심리 위축, 해외직구 영향 등으로 가전/문화(△0.9%p), 패션/잡화(△1.2%p), 아동/스포츠(△0.6%p) 분야의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식품(0.7%p), 서비스/기타(2.2%p) 분야는 매출 비중이 증가하였다. ['24년 12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0.3%) 감소, 온라인 (18.8%) 상승하여 전체적으로 8.9% 증가하였다. ※ 기타 상세 내용은 본문 및 붙임 참조 |
Ⅰ |
|
2024년 연간 매출동향 |
□ (전체 매출)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2.0%) 부문과 온라인(15.0%)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8.2% 증가
ㅇ (오프라인) 백화점(1.4%)·편의점(4.3%)·준대규모점포(4.6%) 등은 증가하였고 대형마트(△0.8%)는 감소하여 오프라인(2.0%) 성장
ㅇ (온라인) 식품, e-쿠폰, 음식배달, 공연·여행티켓 구매 등을 중심으로 온라인 부문(15.0%)이 크게 성장
<'23년 및 '24년 연간 매출 비중 및 매출 증감률>
구분 |
'23년 연간 |
'24년 연간 |
||
매출 비중 |
매출 증감률 |
매출 비중 |
매출 증감률 |
|
대형마트 |
13.5% |
0.5% |
11.9% |
△0.8% |
백 화 점 |
18.5% |
2.2% |
17.4% |
1.4% |
편 의 점 |
17.8% |
8.1% |
17.3% |
4.3% |
준대규모점포 |
2.9% |
3.7% |
2.8% |
4.6% |
오프라인 합계 |
52.7% |
3.7% |
49.4% |
2.0% |
온라인 합계 |
47.3% |
5.2% |
50.6% |
15.0% |
전체 |
100.0% |
4.4% |
100.0% |
8.2% |
|
< '20~'24년 연간 매출 증감률(%) 추이 (전년 대비) > |
|
|
|
|
|
* 2개사(티몬, 위메프)를 제외
□ (업태별 매출비중) 온라인 매출 비중은 3.3%p 증가하여 50.6%를 기록했으며, 오프라인은 대형마트(△1.6%p), 백화점(△1.1%p), 편의점(△0.5%p), 준대규모점포(△0.1%p) 모두 감소
|
< '23년 및 '24년 연간 업태별 매출 구성비(%) > |
|
|
|
|
||
'23년 연간 업태별 매출 구성비 |
'24년 연간 업태별 매출 구성비 |
||
|
|
□ (상품군별 매출비중) 소비심리 위축, 해외직구 영향 등으로 가전/문화(△0.9%p), 패션/잡화(△1.2%p), 아동/스포츠(△0.6%p) 매출 비중은 감소하였으며, 식품(0.7%p), 서비스/기타(2.2%p) 분야는 매출 비중이 증가
|
< '23년 및 '24년 연간 상품군별 매출 구성비(%) > |
|
|
|
|
||
|
|
|
Ⅱ |
|
2024년 12월 매출동향 |
1. 12월 매출 동향
□ (전체 매출) 오프라인 부문(△0.3%)은 감소, 온라인 부문(18.8%)은 상승하여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
|
<'24년 12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
|
|
|
|
||
온·오프라인 매출 증감률 |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
||
|
|
ㅇ (오프라인) 백화점(1.1%)·편의점(2.4%)·준대규모점포 (3.4%) 등은 상승, 대형마트(△6.6%)는 감소하여, 전체 매출은 0.3% 감소
ㅇ (온라인)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는 상품군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전체 매출은 18.8% 증가
<유통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24년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전체 |
8.2 |
13.7 |
10.9 |
10.8 |
8.8 |
11.1 |
6.3 |
9.2 |
6.7 |
6.7 |
8.0 |
8.9 |
오프라인 |
△0.3 |
11.5 |
6.0 |
△0.2 |
0.9 |
3.7 |
△3.0 |
5.0 |
△0.9 |
0.0 |
3.9 |
△0.3 |
온라인 |
16.8 |
15.7 |
15.7 |
22.2 |
16.5 |
18.4 |
16.9 |
13.9 |
15.7 |
13.9 |
11.8 |
18.8 |
□ (상품군별 매출) 식품(8.0%), 생활/가정(3.3%), 서비스/기타(42.0%) 등은 상승, 가전/문화(△2.3%), 패션/잡화(△1.1%)는 감소세 지속
ㅇ (오프라인) 서비스/기타(4.3%), 해외유명브랜드(6.1%) 등은 증가하였으나 가전/문화(△17.9%), 패션/잡화(△3.8%), 식품(△0.4%) 등은 부진
ㅇ (온라인) 식품(21.5%), 서비스/기타(83.8%) 등은 성장세를 유지한 반면, 패션/의류(△6.8%)*, 가전/전자(△1.2%)** 부문은 감소 지속
* 온라인의 패션/의류는 화장품과 함께 패션/잡화에 포함
** 온라인의 가전/전자는 도서/문구와 함께 가전/문화에 포함
<'24년 12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 문화 |
패션/ 잡화 |
아동/ 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전체 (비중,%) |
8.9 (100) |
△2.3 (10.3) |
△1.1 (12.3) |
△1.1 (5.2) |
8.0 (36.2) |
3.3 (11.6) |
42.0 (17.6) |
6.1 (6.8) |
오프라인 |
△0.3 |
△17.9 |
△3.8 |
△3.7 |
△0.4 |
△4.8 |
4.3 |
6.1 |
온라인 |
18.8 |
△0.4 |
1.8 |
1.0 |
21.5 |
7.7 |
83.8 |
- |
□ (구매건수·구매단가) 대형마트(△3.5%)·백화점(△2.9%)은 구매건수 감소, 편의점(1.9%)·준대규모점포(5.2%)는 증가하여 전체 1.3% 증가
ㅇ 구매단가는 백화점(4.0%)·편의점(0.5%)은 증가, 대형마트(△3.2%)·준대규모점포(△1.7%)는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1.6% 감소
<'24년 12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구매건수 |
1.3 |
△3.5 |
△2.9 |
1.9 |
5.2 |
구매단가 |
△1.6 |
△3.2 |
4.0 |
0.5 |
△1.7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 (업태별 매출 비중) 대형마트(△1.8%p)·백화점(△1.5%p)·편의점(△1.0%p) ·준대규모점포(△0.2%p)는 매출 비중이 전년 동월에 비해 감소
ㅇ 온라인 부문(4.4%p)은 전년 동월에 비해 증가하여 매출 비중은 52.7%임
<오프라인온라인 월별 매출 비중 (단위 : %)>
구분 |
'24년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오프라인 |
49.8 |
50.3 |
51.1 |
49.9 |
49.7 |
50.5 |
48.7 |
50.3 |
50.3 |
48.1 |
47.0 |
47.3 |
온라인 |
50.2 |
49.7 |
48.9 |
50.1 |
50.3 |
49.5 |
51.3 |
49.7 |
49.7 |
51.9 |
53.0 |
52.7 |
|
<'23년과 '24년의 12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
'23년 12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24년 12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2. 유통업태별 매출 동향
가. 오프라인 유통업체
□ 대형마트(△6.6%)는 감소, 백화점(1.1%)·편의점(2.4%)·준대규모점포 (3.4%) 등은 상승하여 전체 매출은 0.3% 감소
ㅇ (대형마트) 전체 매출은 △6.6% 감소, 휴일 수 감소(-1일)*로 식품 분야(△4.4%), 가전/문화(△17.9), 가정/생활(△11.5%) 등 감소
* 토·일요일 및 크리스마스 ('23.12월) 11일 → ('24.12월) 10일
ㅇ (백화점) 전체 매출은 1.1% 상승, 식품(1.0%), 해외유명브랜드(6.1%) 상승, 이외 잡화(△4.3%), 여성정장(△4.1%), 가정용품(△1.1%) 등 대부분 하락
ㅇ (편의점) 전체 매출은 2.4% 상승, 식품(1.8%), 비식품(3.1%) 모두 성장
ㅇ (준대규모점포) 전체 매출은 3.4% 상승, 집밥 수요 증가 등으로 식품군(4.0%) 중심으로 성장, 비식품군(△4.6%)은 감소
<'24년 12월 전년동월 대비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매출 증감률 |
△0.3 |
△6.6 |
1.1 |
2.4 |
3.4 |
□ 오프라인의 점포당 매출은 대형마트(△4.8%)·준대규모점포(△2.0%)는 감소, 백화점(4.6%)·편의점(1.0%)은 증가
ㅇ 점포수는 전년 동월 대비 편의점(1.3%)·준대규모점포(5.4%)는 확대, 대형마트(△1.9%), 백화점(△3.3%)은 축소
<'24년 12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점포당 매출 증감률 |
3.6 |
△4.8 |
4.6 |
1.0 |
△2.0 |
점포 수 증감률 |
1.4 |
△1.9 |
△3.3 |
1.3 |
5.4 |
나. 온라인 유통업체
□ 전체 매출은 18.8% 증가, 음식배달 서비스, 가전·자동차 등 렌탈 서비스 이용 확대, 온라인 식품구매 확대 등으로 서비스/기타(83.8%), 식품(21.5%), 화장품(14.7%) 등이 꾸준히 성장
ㅇ 가전/전자(△1.2%), 패션/의류(△6.8%), 스포츠(△4.5%)는 감소세 지속
<'24년 12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증감률·매출비중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 전자 |
도서 문구 |
패션 의류 |
스포츠 |
화장품 |
아동 유아 |
식품 |
생활 가구 |
서비스기타 |
매출증감률 |
18.8 |
△1.2 |
5.6 |
△6.8 |
△4.5 |
14.7 |
4.9 |
21.5 |
7.7 |
83.8 |
매출비중 |
100.0 |
15.5 |
2.3 |
6.4 |
2.2 |
5.2 |
3.4 |
29.6 |
14.9 |
20.5 |
< 일 러 두 기 > |
|
1. 본 동향은 소비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월간 매출액 또는 거래액을 조사분석한 자료임 2.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동향은 전체 유통업체가 아닌 주요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개사의 월간 매출액을 조사·분석한 결과임 3.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동향은 온라인 유통업체 10개사의 월간 거래액을 조사분석한 결과로, 통계청의 승인을 받지 않은 자료임 4. 본 동향은 통계청의 「서비스업동향조사」·「온라인쇼핑동향조사」와는 모집단, 작성항목 등이 달라 자료간 증감크기나 방향이 상이할 수 있음 5. 본 동향은 조사기준월 익월말 공표되는 자료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