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한독산학협동단지는 8일 DMC 단지에서 KGIT 기공식을 갖는다.기공식에는 이명박 서울시장,오명 과학기술부 장관,독일 12개 대학 컨소시엄의 잉고 볼프 의장,호르스트 텔칙 보잉 독일 사장 등이 참석한다.
KGIT 설립은 2000년 한국과 독일의 학자들에 의해 처음 제기됐으며,서울시가 부지 알선 및 행정지원 등을 약속하면서 급물살을 탔다.독일에서는 베를린공대·뮌헨공대·함부르크대 등 12개 대학 컨소시엄 외에 프라운호퍼 연구재단과 칼스루에 예술·미디어공학 연구센터가 참여한다.
5300여평의 부지에 조성되는 KGIT는 정보통신공학·나노공학·공학경영·기계공학·산업화학 등 8개 분야의 연구개발(R&D) 중심의 연구소 및 교육기관으로 운영된다.국내 연구진의 연구활동도 보장된다.특히 DMC를 동북아 최대의 R&D센터로 개발할 계획인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이 시장이 독일을 방문,추진설명회를 갖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DMC내 외국자본이 첫번째로 투입된 KGIT의 기공으로 DMC단지 및 한국의 이공계 활성화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지상 24층,지하 4층 규모인 메인센터와 지상 32층,지하 3층인 지원센터에는 6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이 중 2억유로(2500억원) 상당의 최첨단 기자재와 설비,연구인력 등을 독일 정부,독일내 대학 컨소시엄과 기업 등으로부터 제공받는다.
KGIT가 문을 여는 2008년에는 첨단 지식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산·학·연 협력시스템이 구축돼 산업간 시너지효과 및 연간 수백명의 고용창출이 직접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전문인력 양산도 가능해져 침체된 국내 이공계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독일의 우수한 기술과 자본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DMC단지를 최첨단 IT 및 미디어산업단지로 조성하는 데 한 발 다가서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최용규기자 ykcho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