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자부 조석 국장 |
산업자원부 조석(趙石·47) 원전사업지원단장(국장급)은 4일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사업은 18년 묵은 국가의 숙원 사업을 해결하는 동시에 투명한 절차를 통해 주민과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구해야 하는 힘겨운 일”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지난해 전북 부안군의 유치작업 실패를 염두에 둔 말이다.그만큼 그의 각오는 남다르다.
조 단장은 “처음에 이희범 장관께서 이 일을 맡아 잘 해보라고 지시했을 때 덜컥 겁이 났지만 ‘그래 내가 아니면 누가 이 일을 말끔하게 처리할 것인가.’라고 스스로 마음을 다져 먹었다.”고 말했다.그는 이 장관이 23년간의 공직 경력을 살펴보고 자신을 지명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단장은 1981년 행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통상담당관,공보과장,청와대 파견,총무과장 등을 거쳤다.대부분이 이해당사자들과 교섭하거나 타협이 필요한 조정 업무다.
그는 “정책을 추진하다 보면 본의 아니게 혜택을 입는 층도 있지만 직·간접의 크고 작은 피해를 주는 경우도 생긴다.”면서 “그러나 피해를 얼마나 적게,얼마나 원만하게 해결하느냐가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척도”라고 강조했다.즉 “정책 시행에 착수한다고 해서 일이 성공했다고 단정지어선 안 된다.”고 자신의 ‘공직 철학’을 밝혔다.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사업은 지난해 부안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충남 안면도,인천 굴업도,경북 울진 등에서도 유치하려다 실패한 적이 있다.지난해 부안에서는 주민 갈등 끝에 큰 상처를 남겼으나 주민투표라는 민주적 절차를 낳았다.지난달 31일까지 전국 7개 지역 10곳에서 유치신청이 접수됐다.오는 9월15일까지 자치단체장이 주민의견을 모아 예비신청을 하게 되는 절차가 진행중이다.조 국장은 현재 정치권과 시민단체들로부터 조언을 구하고 있다.
조 단장은 부안의 유치실패 원인에 대해 “민선 자치단체장의 의견이 곧 주민의 뜻이라고 판단했고,법률적으로도 이를 따를 수밖에 없었던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이 때문에 그럴 뜻은 추호도 없었지만 주민들에게 정부와 사업자가 오만하게 비쳐졌을 것”이라고 사과를 구했다.그는 “우리나라는 지난해 자동차와 반도체를 수출해 벌어들인 돈을 에너지를 수입(380억달러)하는 데 다 썼을 정도로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7%에 달한다.”면서 원전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원자력은 값싸고 효율성이 높지만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밖에 없는 만큼 전기를 쓰는 국민이라면 모두가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면서 협조를 당부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