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는 ‘풀러(puller)’라 부르고 특히 맨 뒤 8번째 선수는 ‘앵커맨(anchor man)’이라 부른다.앵커맨은 자기편의 맨 뒤에서 줄을 한쪽 겨드랑이 밑을 지나 등쪽에서 대각선으로 반대편 어깨쪽으로 오도록 잡아야 한다.
앵커맨은 반칙패를 당하지 않기 위해 자기 선수들이 규정된 경기장을 벗어나거나 주저앉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앵커맨은 일반적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고 힘이 가장 센 사람이 맡는 것이 보통이다.또 다른 선수와 달리 부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헬멧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선수는 반드시 맨손으로 경기에 임해야 하며 장갑 등 기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어떤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또 실외경기에서 경기시작 전 땅을 파내 발판을 만드는 행위도 반칙으로 간주된다.
줄다리기 경기에서는 여러가지 반칙행위가 있다. 고의로 주저 앉을 경우 ‘주저앉기 반칙’으로 간주되며 무릎이나 허벅지를 이용해 줄을 누르거나 고정시켜서도 안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발이다.제4회 런던올림픽 당시 미국과 영국이 맞붙은 줄다리기 경기에서 영국 팀이 징 박힌 신발을 신고 출전한 사건이 있었다. 미국 팀은 강력히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결국 패배의 눈물을 흘려야 했다.
이후 줄다리기에서 신발에 대한 규정이 철저해졌다. 신발은 밑바닥이 평평하고 뒤축이 없는 실내 스포츠화만 신을 수 있으며 스파이크나 금속제 바닥,발가락이 나오는 등의 신발은 금지된다.
경기는 시간제한이 없고 4m를 당기는 팀이 승리하게 된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