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CCTV 2만 2329대 확충… 서울, 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개인정보 유출 없도록”…서울시, 개인정보보호위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성북구, 장위4구역 공사비 갈등 중재 해냈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온라인 실시간 교육, 화상영어…학업 격차 확 줄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무안반도 세발낙지 씨 마른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세발낙지가 사라진다?’

서남해안에서는 한여름과 한겨울을 빼고는 사시사철 낙지잡이가 이뤄진다. 한데 올봄 낙지잡이가 영 신통찮다. 지난해 가을에 비해 어획량이 절반으로 뚝 떨어졌다. 공급이 달리다 보니 스무마리 1접에, 좀 크다 싶으면 10만원을 넘는다.

무안반도는 천혜의 낙지 서식지다. 영양분이 풍부한 갯벌이 있고 낙지가 가장 좋아하는 칠게가 지천이다. 청계면 구로리 정순환(51) 어촌계장은 “생활하수 등으로 갯벌이 오염됐다고 하지만 올봄에는 유난히 낙지가 없다.”며 “부부가 배타고 나가 온종일 10마리가량 잡는 게 고작이어서 가을까지는 낙지잡이를 접었다.”고 말했다. 또 망운면 송현리 맹신호(54)씨는 “옛날에는 한 번 나가면 200∼300마리는 거뜬했는데….”라며 “낙지잡이도 해걸이를 하기 때문에 가을철 낙지잡이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아쉬움을 달랬다.

해마다 무안군 6개면에서 낙지잡이로 벌어들이는 소득은 160억원대. 한접에 최하인 4만원꼴로 쳤으니까 실제 소득은 훨씬 더 많다고 봐야 한다. 가구당 3000만∼5000만원 벌이는 너끈한 셈이다. 함평만∼탄도만∼청계만을 끼고 있는 해제·현경·망운·운남·청계·삼향면이 주 생산지다.

낙지 특산지인 전남 무안반도에서는 세발낙지를 ‘뻘낙지’로 부른다. 모래나 자갈이 섞이지 않은 끈적끈적하고 차진 갯벌에서 칠게를 먹이로 삼아 쫄깃함과 고소함이 진하다. 겉으로는 ‘뻘낙지’는 부드러운 회색빛이고 다른 낙지는 밝은 검붉은색으로 구별한다. 그러나 중국산은 같은 서해바다라서 눈으로 낙지를 구별하는 게 힘들다고 한다.

국내 최초로 ‘낙지박사’ 학위를 받은 목포지방해양수산청 완도해양수산사무소 김동수(50) 관리과장은 “세발낙지는 종자가 다른 게 아니고 발이 가늘고 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며 “혹자는 낙지가 펄에 기어나와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 세발자국과 비슷하다 해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국내에서 낙지가 줄어든 이유는 오염보다는 마구잡이 남획으로 씨가 마른다고 보면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여기다 낙지는 고기처럼 몸 길이가 작다고 해서 못 잡거나 심지어 어획 금지기간도 정해져 있지 않아 남획을 부추기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낙지잡이도 아주 다양하다. 주로 배를 타고 나가 낚싯줄에 낚시를 수백개씩 단 주낙으로 잡지만 야행성인 점을 이용해 횃불을 밝혀 갯벌로 유인해 잡거나 삽으로 갯벌 1m쯤 파고 내려가 끄집어 내기도 한다. 옛날 간척지로 변하기 전 영암군 미암면과 해남군 산이면도 ‘뻘낙지’도 유명했다. 그래서 집산지인 영암군 독천리는 세발낙지 요리의 명소가 됐고 지금도 몇몇 식당이 그 명맥을 이어 번창하고 있다.

김 박사는 “낙지는 태어난 지 암컷은 1년, 수컷은 1년 6개월이면 생을 마친다.”며 “암컷은 알을 낳고 부화되기를 지켜보면서 스스로 녹아 없어진다.”고 밝혔다. 그리고 부화 3∼4개월이면 25∼30g 크기로 자라 나무 젓가락에 통째로 감아 한입에 씹어 먹는 데 안성맞춤이다.

국내 낙지 어획량은 1992년 1만 3492t,1997년 1만 103t,2002년 5271t으로,10년 만에 무려 62%가량 줄었다. 반면 중국산 등 낙지 수입량은 2002년 3만 2506t(5900만달러),2003년 4만 1570t(7900만달러)으로 늘었다. 낙지가 부족하다 보니 중국산 낙지가 시장을 점령했다는 게 식당가의 의견이다. 한 식당 주인은 “국내 생산량으로 추정해 보면 수도권에 공급되는 60∼70%는 수입산으로 보면 틀림없다.”고 전했다.

무안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