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제주축산물공판장에서의 29일 돼지고기 경락가격은 지육 기준 ㎏당 평균 4507원으로 6월 들어 4300원대 이상의 높은 값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4월의 3562원,5월의 3798원에 이어 올 들어 기록된 최고 수준이며 지난해 가장 시세가 좋았던 8월 경락가 4129원을 378원이나 경신한 값이다.
농협은 이같은 ‘고공행진’이 여름 행락철을 앞두고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주산 돼지고기 값이 이처럼 비싸진 것은 지난해 광우병 파동으로 쇠고기 대신 돼지고기가 인기를 끈 데다, 제주산의 경우 육질이 우수해 찾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으로 농협은 분석하고 있다.
축산물등급판정소가 전국을 대상으로 고급육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제주산의 고급육(A·B등급) 출현율은 73.1%로, 전국 평균 67.8%에 비해 월등했고 2위인 전북의 71.5%보다도 1.6%포인트 높았다.
이러자 서울 등 대도시에서는 수입산이나 타지역산을 제주산으로 둔갑시켜 파는 사례까지 나타나 제주도는 급기야 제주도지사가 품질을 보증하는 ‘FCG업체’ 인증제 실시와 함께 가짜 제주산을 신고하는 사람에게 건당 30만원의 보상금까지 지급하고 있다.
콜레라 등 각종 질병으로 인한 전국적인 사육두수 감소도 값오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주축산물공판장에서의 올 들어 지난 5월 말까지의 돼지 도축 두수는 23만 5000여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5만 4000여마리에 비해 1만 9000여마리 줄었다.
지난해 말 현재 제주도내 양돈농가는 342농가로 41만 1000여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제주 김영주기자 chejuky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