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보건소가 운영하는 가정간호센터가 주목받고 있다. 혼자서는 몸을 가누기조차 힘든 장기투병환자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집에서 장기간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까지 보건소에서 직접 돌봐 주기 때문이다.
●지난 2월부터 운영돼…암환자까지 돌봐
지난 2월 문을 연 가정간호센터는 보건소가 운영하는 최초의 가정간호 전문 조직이다. 전직 간호사 경력이 있고 가정전문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18명의 간호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동하는 데 필요한 차량도 3대를 확보했다.
이들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가정을 방문해 위관 삽입관 교체, 의사처방에 따른 검사물 채취, 소변줄 교환, 욕창관리, 주사 및 투약 등을 해주고 있다. 병원에서 받는 1대1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특히 서초구 보건소는 가정간호 서비스의 대상을 서초구 거주 모든 암환자로 범위를 넓혔다.
보건소 장정자 보건지도과장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재가 암환자 관리사업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 중 하위 50%에 속하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다.”면서 “수혜대상을 전체 암환자로 확대한 경우는 서초구가 유일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가정간호센터’는 암환자들에게는 인공항문·영양관 등 특수의료장치를 관리해 주거나 마약성진통제 처방, 물리치료 등을 직접 제공하고 있다. 김남희 가족보건팀장은 “인근 구에서는 보건소의 가정간호사업을 병원에 위탁해 적지않은 비용을 받는 반면, 우리 보건소는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말까지 보건소는 모두 2540가구에 대해 재가간호 서비스를 제공했다. 장 과장은 “홍보가 덜돼 아직 수혜를 받지 못한 환자들까지도 직접 찾아 나설 것”이라며 “환자가족의 심리적·경제적 부담을 덜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보건소는 향후 암질환 전문병원과 연계, 보다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도 세워뒀다. 이 사업과는 별도로 진행중이던 암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간호사업도 확대할 예정이다.
●간호사들에 대한 칭찬목소리 높아
‘가정간호센터’의 활동상이 알려지면서 주민들로부터 호응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보건소 게시판에는 간호사들에 대한 칭찬의 글도 많이 오른다. 강경석(가명·서울 강남구 도곡동)씨는 “척수손상·신부전증 등으로 오랫동안 투병중이거나 약물 부작용으로 사경을 헤맬 때 이같은 서비스가 있는 줄 알았다.”면서 “동생과 떨어져 지내지만 보건소의 방문간호 덕에 마음을 놓고 지낼 수 있다.”고 만족해했다. 가정방문 간호사로 일하는 주형순씨는 “아직까지 돌봐야 할 환자를 다 못 돌본다는 생각에 마음이 불편하다.”면서 “가족같은 마음으로 환자를 정성껏 돌볼 것”이라고 말했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