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승진한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소요기간을 분석한 결과 각 기관간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설조직은 승진이 빠른 반면 청(廳)단위는 더딘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앙인사위의 자료와 각 부처가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중앙인사위가 지난 5월부터 각 부처에 보급한 전산인사관리시스템(PPSS)을 활용하는 44개 기관이 대상이었고 자료입력이 안된 교육인적자원부·대검찰청·경찰청 등 10개 기관은 제외됐다.
●하위직 많은 청단위 ‘적체’
지난해 1∼8급에 승진한 공무원 중 승진 소요 연수(年數)가 가장 빠른 곳은 국정홍보처로 1년1개월이 걸렸다. 이어 병무청이 1년10개월이다. 이는 최저 소요연수인 2년보다 빠른 것으로 인사위는 특별승진자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반면 국가보훈처는 3년11개월로 가장 길었다.
인사위 관계자는 20일 “지난해 승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로 전체 공직사회의 승진소요 연수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6급과 5급으로 올라 갈수록 적체가 심했다.7급으로 승진할 때는 통계청이 7년8개월로 가장 길었고, 정보통신부도 7년5개월이나 걸렸다. 반면 고충처리위원회 3년, 식약청 3년1개월, 국방부 3년2개월 등 3년 남짓 걸리는 기관도 많았다.7급으로 승진할 때 11개 기관은 최소 연수인 3년만 겨우 넘겼다.
6급으로 승진할 때도 통계청이 9년5개월로 가장 긴 반면, 법제처와 비상기획위원회 등 14개 기관은 3년을 넘기고 승진자를 냈다.
인사위는 “7·8급으로 승진할 때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승진토록 근속승진제가 있어 적체가 심하지 않은 편이지만, 통계청과 국세청 등 집행기관에는 하위직이 많아 체증이 심하다.”고 강조했다. 전반적으로 신설된 국가청렴위원회(옛 부패방지위원회), 비상기획위, 여성부 등의 승진이 빠르고 통계청 등 외청은 상대적으로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직일수록 적체 덜해
반면 고위직일수록 적체가 덜했다.5급으로 승진할 때 최소 소요 연수는 4년이지만 14개 부처에서는 10년 이상이나 걸렸다.4급(최소연수 5년)으로 올라 갈 때도 10개 부처에서 10년 이상 걸렸다. 하지만 3급으로 승진할 때 10년 이상 걸리는 곳은 4곳으로 줄었고,2급 승진의 경우 3∼4년이면 발탁되는 곳이 많았다.
이와 관련, 김종률 의원은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 여하보다 부처 선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승진하는 데 최고 8년까지 차이가 난다.”면서 “적체가 심한 부처 공무원의 사기에 문제가 많은 만큼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2005-9-21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