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31일 개관한 국내 유일의 이 고래박물관에는 토·일요일이면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서 1500∼2000명이 몰린다. 최근까지 20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았다.
울산시와 남구는 상업 포경이 금지(1986년)되기 전까지 장생포항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포경기지였던 역사적 의미를 살려 장생포 해양공원 바닷가에 고래박물관을 건립했다.
65억원을 들여 6610㎡(2000여평)의 부지에 지상 4층으로 지어 고래와 고래잡이 관련 각종 자료·유물 등을 수집, 전시해 놓았다.
박물관 1층 어린이 학습관은 영상·복제물 등을 이용해 고래의 생태와 진화 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도록 꾸며놓았다.2층 포경역사관으로 발길을 옮기면 길이 12m가 넘는 대형 브라이드 고래와 범고래의 실제 뼈를 원형대로 복원해 전시해놓은 표본이 눈길을 끈다. 또 고래를 잡고 해체하는데 썼던 다양한 도구 등이 전시돼 있어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포경역사를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다.
3층에는 귀신고래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귀신고래전시관이 마련돼 있다. 포경당시 고래해체작업을 했던 작업장과 시설을 그대로 옮겨 복원해 놓은 고래해체장 복원관도 흥미롭다.
포경당시 먼 바다를 누비며 고래를 잡았던 포경선 2척이 박물관 안팎에 전시돼 있다.1척은 원래 장비와 모습 그대로 복원해 박물관 옆 광장에 설치해 놓아 관람객들이 승선해 관찰하며 고래잡는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다. 다른 1척은 박물관안에 건물구조물 일부로 인테리어 시설을 겸해 설치해 놓았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고래박물관을 찾은 걸음에 부위에 따라 12가지 맛이 난다는 고래고기 맛을 보고 싶으면 박물관 주변에 있는 10여곳의 고래고기 음식점들을 이용하면 된다.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울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